들어가며 | 한반도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공간적 상상력
1 한반도 에너지 전환의 개념화를 위한 시론
한반도 에너지 전환론, 구체적인 미래 만들기의 출발점
행성적 도시화의 시선에서 에너지 전환 논의를 공간화하기
행성적 도시화의 시선에서 한반도 에너지 전환을 내다보기
한반도 구성원들이 함께 만드는 한반도 에너지 전환의 미래
2 북한 에너지 전환의 갈림길: 현황과 특징
북한 에너지 문제를 바라보는 남한 언론의 시각
북한 에너지 실태
북한의 에너지 위기와 해결 노력
북한 에너지 체제의 특징과 시사점
3 한국 에너지 전환의 미래: 다양한 스케일의 전환 경로 탐색
한국 에너지 전환의 지리적 스케일
전환연구, 전환의 지리학 그리고 사회기술 시나리오
한국 에너지 시스템 전환의 다층적 분석
한국 에너지 전환 경로의 시론적 탐색 및 토론
국가적 스케일을 넘어서는 전환 경로 탐색의 필요
4 동북아 슈퍼그리드와 에너지 전환의 경로
전환 경로와 사회기술적 상상
전환 경로의 분기점
한국 정부의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상
환호와 냉소 사이의 동북아 슈퍼그리드
슈퍼그리드에 대한 다른 상상은 가능한가
5 한반도 에너지 전환 경로와 시나리오 구상하기
한반도 에너지 전환의 상상력
에너지 전환론의 이론적 검토
남북한 에너지 현황과 정책 비교 분석
한반도 에너지 전환 경로와 시나리오 구상
한반도 에너지 공동체를 향하여
6 남북 에너지 교류·협력 평가와 과제
한반도 에너지 전환 추진의 실천대(實踐臺로서 교류·협력
남북 에너지 교류·협력 유형
남북 에너지 교류·협력 평가와 과제
나오며 | 한반도 에너지 공동체의 열린 미래
미주
참고문헌
“한반도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략과 구상”
한반도 에너지 전환론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이 아니다. 과거에도 교류협력 차원에서 국내외 (재생에너지 지원사업이 간헐적으로 추진되거나 검토된 전례가 있다. 비록 대북제재라는 제도적 장벽이 존재하지만, 재생에너지 교류협력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시민사회와 학계에 제법 형성되어 있다. 최근 북한을 에너지 전환의 대상 혹은 주체로 접근하려는 제안이 적지 않다. 이들 논의에는 인도주의, 평화주의, 생태주의 관점이 강하게 녹아 있다.
에너지 전환의 모델과 경로는 하나가 아니다. 그러므로 한반도 에너지 전환을 논하기 위해서는 첫째, 재생에너지를 비롯한 개별 에너지 사업 부문을 넘어서 거시적 수준과 미시적 수준을 종합하는 다층적 차원에서 에너지시스템 전반의 전환적 사고가 필요하다. 둘째, 남한과 북한이라는 개별적, 폐쇄적 국가공간이 아닌 한반도와 동북아라는 새로운 연결성과 위치성을 담을 수 있는 한반도 차원의 새로운 사회공간적 상상력이 요구된다. 셋째, 기존 에너지 관련 학계와 정책 분야에서 시도해왔던 과거의 사실(fact을 바탕으로 예상되는 미래를 가정하던 수준을 넘어서 ‘바람직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하여 사실과 더불어 허구(fiction를 적절하게 섞어서 어떻게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환상[more concrete and practical illusion’(Hwang, 2021]을 만들 수 있을지에 방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런 시각을 공유하며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논의를 펼친다. 1장(황진태은 한반도 공간을 ‘도시적인 것(the urban’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출발점으로 잡고서 한반도 에너지 전환을 상상하자고 제안한다. 국가 중심적 시각으로 한반도 일대를 바라봤을 때 포착하지 못한 국경을 가로지르는 행성적 차원에서 동북아 도시화의 역동성을 확인하고, 북한이 화석연료 수출을 통하여 동북아 주변국들의 도시화를 촉진할 배후지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예측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지속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