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는 말
1장 잘 듣는 것만으로도
언어는 존재의 집
날마다 종알거리고
27분 30초
낮게 천천히
혼자가 아닙니다
한마디도 하지 않은 하루
너는 봄날의 햇살 같아
내비게이션을 끄세요
원장님의 한 마디
부장님 증후군
쉬엄쉬엄, 꾸준히
2장 말을 이해한다는 건 기적과도 같은 일
우리는 다른 나라 사람과 같은 집에 산다
이름을 물어볼까요
위로는 한 박자 늦게
무조건 네 편이야
뒤가 더 중요해
순한 사람이 화를 내면 무섭다
거절도 천천히
우리는 서로의 거울이니까요
웃어도 괜찮아
10퍼센트는 남겨두세요
콩나물에 물 주듯
3장 때로 작은 구원이 되어
독백은 고백이 되고 고백은 구원이 된다
명왕성이나 천왕성 같은 존재
저는 아침 월급형 인간이었습니다
흙탕물이 가라앉을 때까지
내가 너를 믿듯이
잘못 탄 기차가 목적지에 데려다준다
교차로에서 만난 것뿐이에요
동그라미, 동그라미뿐
100가지 장점이 있는 사람
발목에 묶인 실을 풀어버린 것처럼
4장 말하기를 제대로 배운 적 없기에 _22년 강의 실전 연습
발표는 기 싸움입니다
벽을 뚫어라
팀워크는 리액션
문장을 쓰지 마세요
그래요, 강아지의 힘
후배에게 배웠어요
원로 아나운서의 연습법
100장이었는데 1장입니다
혼자서 해보는 방송
이미 절반은 이긴 거야
호흡은 말의 리듬
한 번 더 물어봐도 괜찮아
정리 또 정리 다시 정리
닫는 말
“말하기가 낯설고 서투른 이들에게 용기를 선물해주는 책.”
_한지민, 배우
“적절하고 유창한 언어를 구사하게 도움을 주는 가이드인 동시에
누군가에게는 삶의 기준이 되어줄 것이다.”
_박상영, 소설가
<아침마당>, <인간극장>, <파워인터뷰> 등
수많은 대표 프로그램과 극적인 순간들을 만들어내며
국민 아나운서로 자리매김한 33년차 방송인 이금희가 최초로 공개하는
굳게 닫힌 상대의 마음과 입을 열게 하는 소통법
“오늘도 부장님 때문에 스트레스 받아요. 왜 한번 말하면 못 알아듣냐며 화를 내십니다. 제가 정말 무능한 걸까요.” 퇴근길 생방송으로 라디오 프로그램 <사랑하기 좋은 날 이금희입니다>를 진행하면서 저자는 직장 생활의 고충을 호소하는 사연을 자주 접한다. 특히 상사와 직원 간의 불통은 흔한 일이다. 왜 부장님은 답답해하고 우리는 못 알아들어 속상한 걸까. 이유는 단 하나, 부장님이 ‘누가 듣느냐’, ‘누구에게 말을 하느냐’를 놓쳤기 때문이다. 말하기에서 제일 중요한 이는 듣는 사람이다. 말하기란 내가 상대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여 이해시키는 것. 그렇기에 청자의 이해가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팀장에게 할 말을 팀원에게 한다면? 알아들을 수가 없다. 우리도 같은 실수를 저지르지 않으려면 반드시 염두에 둬야 한다. ‘지금 내가 하는 말을 듣는 사람은 누구인가?’
어떤 순간에도 말로써 상황을 부드럽게 만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상대의 마음을 잘 알아주는 것 아닐까요. 앞머리가 너무 길다는 손님은 앞머리를 좀 더 잘라주기를 원할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들이 나의 앞머리를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할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 이미지를 언급하면서 이 길이가 잘 어울린다고 말해주는 겁니다. 상대의 말에 귀를 기울이면서 왜 그렇게 말을 하는지 텍스트보다는 콘텍스트, 단어보다는 맥락에 신경 쓰는 겁니다. 상대의 마음을 헤아리는 거죠. _p.75
앞선 상황 외에도 늘 말하기가 어렵고 말할 때 자신감이 사라지는 건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