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_ 80년 5월 광주의 재구성 7
감사의 말 12
제1부 광주민중항쟁 전야
1. 서울역 회군 그리고 광주 18
2. 민족민주화성회, 깨어 있는 목소리를 내다 27
3. 혁명의 시, 민주의 행진 43
4. 마침내? 횃불을 들다 52
제2부 광주민중항쟁 ‘현장’의 문화투쟁
1. 시의 폭발, 봉기의 언어화 60
전남대 시위와 화려한 휴가 60 | 광주민중항쟁 ‘현장’ 최초의 시 67 | ‘해방광주’의 민주시 74 | 〈아아, 光州여 우리나라의 十字架여!〉 84 | 김남주의 〈학살〉 과 《5월시》 97
2. 광주민중항쟁 ‘현장’의 구호.표어 105
4.19 시기의 구호와 표어 106 | 광주민중항쟁 ‘현장’의 구호와 표어 110 | 구호ㆍ표어를 통한 ‘언어시위’ 114 | ‘반공’과 ‘노동’의 구호ㆍ표어 117
3. 민중의 노래, 투쟁의 노래 129
광주민중항쟁 ‘현장’의 노래 131 | 민중공화국에 대한 염원, 민중가요 144
4. 대안언론.지하신문과 《투사회보》 154
광주민중항쟁 최초의 유인물 154 | 5월 18일 밤과 유인물 제작 160 | 5월 19일의 속보투쟁 168 | 5월 20일의 차량시위와 《전남매일신문》 177 | 5월 21일의 《투사회보》와 집단발포 181 | 시민공동체의 탄생 187 | 5월 21일 오후의 공방과 공수부대의 철수 195 | 5월 21일 도청 접수와 〈민주수호 전남 도민 총궐기문〉 200 | 5월 22일 ‘해방광주’의 시민 언론 205 | 《투사회보》 제2호와 〈전두환 광주 살육작전〉 208 | 5월 22일의 언론과 《투사회보》 제3호, 제4호 221 | 5월 23일의 《투사회보》 제5호, 제6호 227 | 5월 24일의 《투사회보》 제7호 232 | 5월 26일 《민주시민회보》의 발행 235
5. 음향전 250
국가의 음향장치, 심리전 공격 250 | 5월 19일의 가두와 음향전 256 | 대항 음향전의 시작 260 | 광주의 음향과 청각사회적 방사 268
제3부 항쟁공동체와 거
출판사 서평
시민들은 시를 쓰고,
구호ㆍ표어를 외치고,
투사회보를 만들고,
노래를 부르며
국가폭력에 대항했다
1980년 5월 광주에서 펼쳐진 열흘간의 문화정치
“5ㆍ18 광주항쟁 연구를 한 단계 진전시킨 역작”
“선전선동은 생명과 같은 거야. 다시 싸울 수 있게 알리고 또 알려야 된단 말이야! 전두환이는 총칼보다 투사회보 한 장을 더 무서워해.” -윤상원
시민들의 문화투쟁, 80년 5월 광주의 ‘현장’ 재구성
1980년 5월, 당시 광주 시민들은 무엇으로 국가에 대항했을까? 어떤 구호를 외쳤을까? 각종 성명서, 유...
시민들은 시를 쓰고,
구호ㆍ표어를 외치고,
투사회보를 만들고,
노래를 부르며
국가폭력에 대항했다
1980년 5월 광주에서 펼쳐진 열흘간의 문화정치
“5ㆍ18 광주항쟁 연구를 한 단계 진전시킨 역작”
“선전선동은 생명과 같은 거야. 다시 싸울 수 있게 알리고 또 알려야 된단 말이야! 전두환이는 총칼보다 투사회보 한 장을 더 무서워해.” -윤상원
시민들의 문화투쟁, 80년 5월 광주의 ‘현장’ 재구성
1980년 5월, 당시 광주 시민들은 무엇으로 국가에 대항했을까? 어떤 구호를 외쳤을까? 각종 성명서, 유인물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었을까? 어떤 노래들을 불렀을까? 윤상원 열사가 주도한 《투사회보》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었을까? 당시 어떤 시들이 발표되었을까?
〈오월의 문화정치〉는 1980년 5월 광주민중항쟁 당시, ‘현장’에서 국가권력에 대항하여 시민과 조직이 전개했던 문화적 실천과 투쟁을 규명하고 있다. 그동안 광주민중항쟁을 다룬 기존의 책이나 연구가 광주민주항쟁이 끝난 후의 ‘기억투쟁’ 방식으로 광주를 조명하거나 재해석했다면, 이 책은 항쟁의 ‘현장’ 속에서 ‘문화’적 측면을 조망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항쟁이 전개된 열흘 동안 ‘현장’에서 생산된 ‘시’ ‘노래’ ‘노가바’ ‘유인물’ ‘구호’ ‘표어’ ‘그래피티’ ‘음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항문화 현상에 주목하는 한편 현장의 자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