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인사말
머리말
제1부 초기·부파 불교의 수행론
제1장 초기불교의 수행론
1. 부처님의 고뇌와 고락중도
2. 괴로움의 성스러운 진리
3. 괴로움의 원인
4. 집착하면 왜 괴로운가
5. 제법무아
6. 멸성제
7. 팔정도8. 법념처
9. 선정
10. 위빳사나 지혜
11. 십이연기
12. 분별설부와 설일체유부의 이상향
13. 삼십칠조도품
14. 바르게 깨달으신 분
15. 법의 덕을 억념하다
16. 지혜와 실천을 구족한 성문 승가
17. 오근과 팔정도
18. 오근과 오력
제2장 설일체유부의 수행론
1. 유루와 무루, 유위와 무위
2. 설일체유부의 번뇌론
제2부 대승의 수행론
제1장 중관학파의 수행론
1. 불교의 수행론
2. 『금강경』의 수행론
제2장 유식의 수행론
1. 중관과 유식
2. 제8식과 유식의 수행론
3. 제8식과 유식의 여러 학파
4. 유식의 세 가지 자성설
5. 해탈과 신통
6. 유가행
7. 유식의 자량위
8. 연기와 가행위
9. 견도와 통달위
10. 가행위와 사념처
11. 심념처와 삼계유심
12. 법념처와 만법유식
13. 통달위
제3장 『십지경』의 수행론
1. 세친 보살의 『십지경』 주석
2. 환희지와 연민심
3. 환희지와 십대 서원
4. 환희지와 보시바라밀
5. 욕심과 서원의 차이
6. 이구지의 수행
7. 여명지의 수행
8. 염혜지의 수행
9. 난승지의 수행
10. 현전지의 수행
11. 원행지의 수행
12. 부동지의 수행
13. 선혜지의 수행
14. 법운지의 수행
15. 아라한과 보살 수행의 차이
제3부 선종의 수행론
제1장 『능가경』의 수행론
1. 달마선과 『능가경』
2. 라와나왕 권청품
3. 집일체법품
4. 무상품
제2장 달마선
1. 선의 기원
2. 『이입사행론』
3. 『신심명』의 마음 다스리는 법
4. 아는 마음과 분별하는 마음
5. 신수와 혜능의 수행론
6. 진여심과 조주의
절실했던 수십 년 공부의 회향, ‘초기불교에서 선까지’
귀국 후에 스님은 자신이 공부하고 깨달은 바를 <불교신문>에 ‘초기불교에서 선까지’라는 제목으로 3년 2개월 동안 연재했다. 등현 스님은 대중에게 널리 이름이 알려진 스님이 아니었고, 연재한 글 또한 세간의 이슈에 부합하는 내용은 아니었다. 하지만 스님의 연재 글은 불교계의 화제가 되었다. 중국불교의 교상판석은 물론, 원효 스님도 미처 완성하지 못했던 회통불교의 모습, 불교의 일미(一味를 21세기의 언어로 설명했기 때문이었다. 그런 종류의 글도 드물었지만, 그런 글을 쓸만한 역량을 가진 인물은 더더욱 드물었다. 그 바람에 스님 주변의 인물들은 스님과 직접 이야기하고 싶으니 연락처를 알려 달라는 전화에 시달리기도 했다.
『불교를 꿰뚫다』는 <불교신문>에 연재되었던 ‘초기불교에서 선까지’의 원고를 고치고 다듬어 한 권의 책으로 정리한 것이다. 1부 ‘초기·부파불교의 수행론’에서는 여러 초기 경전과 『구사론』에 나오는 수행론을. 2부 ‘대승의 수행론’에서는 중관학파와 유식학파의 수행론과 『십지경』에 나오는 수행론을. 3부 ‘선종의 수행론’에서는 『능가경』에 나오는 수행론과 달마선 및 조사선의 수행론을 각각 다룬다.
7세기에 원효가 품었던 꿈, 21세기에 다시 피어나다
불교는 교학이기 이전에 실천 수행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불교를 꿰뚫다』는 복잡다단한 불교의 수행론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친절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이 책의 목표는 단지 불교의 수행론을 가르치는데 머물지 않는다. 이 책은 불교의 수행론을 논의 주제로 삼아 불교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가르침과 궁극적인 목표를 치열하게 규명해 나간다.
이 책이 제시하는 불교의 핵심적인 가르침과 궁극적인 목표는 저자의 개인적 견해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초기불교에서 선불교에 이르는 장구한 불교사를 샅샅이 살펴본 저자의 식견에 기반해 있는 것이며, 불교사에 명멸한 여러 상이한 불교적 사유들에 대한 면밀한 교통정리에 기반해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