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_5
들어가는 글: 왜 다자외교인가? _7
PART 01 다자외교의 역사
1. 국제사회의 기본 구조 13
2. 서구의 외교 양식 16
3. 다자외교의 발생과 진화단계 19
(1 다수 국가의 협의 19
(2 국제회의의 정기 개최와 상설기구화 21
(3 국제기구 중심의 다자외교: 주권의 제한 23
4. 제1차 세계대전과 새로운 외교방식의 도입 25
5. 새로운 외교방식: 국제연맹의 첫 경험 30
(1 국제연맹의 설립 30
(2 국제연맹의 새로운 구상 31
(3 국제연맹의 한계 33
PART 02 유엔의 탄생과 다자외교의 새 출발
1. 연합국의 유엔 조직 노력 39
2. 유엔의 기본 구조 45
3. 안보리와 총회 48
(1 총회 49
(2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53
(3 안보리 개혁 문제 58
4. 유엔사무총장의 역할 68
5. 역대 유엔사무총장 71
(1 트뤼그베 리 71
(2 다그 함마르셸드 74
(3 우탄트 82
(4 쿠르트 발트하임 85
(5 페레스 데 케야르 88
(6 부트로스 부트로스-갈리 93
(7 코피 아난 99
PART 03 대한민국과 유엔
1. 대한민국의 건국과 유엔 109
2. 한국전쟁과 유엔 112
3. 한반도 정통성 경쟁과 유엔 116
4.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119
5. 유엔 정회원국으로서 한국의 활약 123
(1 준비된 회원국, 대한민국 123
(2 안보리 진출 123
(3 제56차 유엔총회의장 125
6. 대한민국과 유엔의 미래 131
PART 04 한국인 유엔사무총장
1. 한국 후보의 선정 135
2. 유엔사무총장 경선 139
3. 한국인 사무총장과 유엔의 상호 적응 146
(1 반 총장의 유엔개혁과 저항 146
(2 카리스마를 찾아서 150
(3 진정한 지도력 154
PART 05 다자외교와 유엔의 역할
1. 전쟁과 평화의 문제 161
(1 분쟁의 평화적 해결 162
(2 집단안보 167
(3 평화
보통 외교방식을 양자외교와 다자외교로 나눈다. 그런데 다자외교가 단순히 두 나라 이상이 모여서 논의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았다. 아무래도 바로잡아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전문집단인 외교부에서는 다자외교 하면 유엔과 제네바를, 그리고 그곳의 회의에서 논하는 수많은 의제를 떠올린다. 심지어 일부 직원들은 다자외교파로 분류되기도 한다.
나는 외교부에서 양자와 다자외교의 경험을 골고루 해 본 경우에 속한다. 주미국, 코트디부아르, 이집트 대사관 등 공관 근무, 국내적으로 북미과, 남미과, 서부아프리카과, 동남아과 등 지역부서에서 양자외교 업무를 다루어왔고, 주유엔 대표부, 유엔총회 의장실, 유엔사무총장실 및 본부 유엔과 근무를 통하여 다자외교 업무를 경험하였다. 나의 38년 외교관 생활 중에 군 복무, 해외 유학, 의전 및 비서실 근무 등을 제외하면 양자에 17년, 다자에 12년을 투입한 것이다.
일단 외교관들은 외교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양자외교를 중심으로 훈련을 받고 공관도 양자 공관이 훨씬 많아, 대부분 외교관이 양자 공관에서 근무 경험을 쌓는다. 우리나라와 세계 각국과의 양자관계를 긴밀하게 하고 양국의 국익을 호혜적으로 극대화하는 것은 외교의 기본이다. 때로는 친하지 않은 나라와도 공동 이익을 발견하고 확대하면서, 한편으로는 그 나라의 동향을 주시하는 가운데 그 나라가 우리에게 줄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다자외교는 양자외교의 연장선에 있으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한층 더 진화된 외교 형태이다. 국제관계가 긴밀해지고 기능적으로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양자외교로 다 충족되지 않는 외교 수요를 해소하기 위하여 자연스럽게 발생한 것이다. 앞으로도 양자외교는 외교의 기본을 이루겠지만 특정 국가를 넘어선 인류 전체의 새로운 문제들을 다루어 나가는 다자외교의 형태는 계속 발전해 나가면서 그 범위를 넓혀 나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경우, 한미동맹을 근간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한다는 목표 아래 대미 외교와 주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