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말
1부
목포를 클릭하라 13
케이블카 15
유달산 17
일등바위 19
장수바위 21
유선각 23
노적봉 25
반야사 느티나무 27
반야사 수탉 29
철거민 기념탑 31
달성사 느티나무 33
달성사 옥정 35
목포시사 37
목포의 눈물 노래비 39
유달산조각공원 41
고하도 43
고하도전망대 45
달리도 47
율도 49
외달도 51
목포공생원 53
구 조선내화 59
보리마당 61
연희네슈퍼 63
시화골목 65
선경횟집 67
한국해양대학교 55
목포스카이워크 57
2부
목포진 71
삼학도 73
이난영 75
가수 이난영 공원 77
이난영나무 79
김대중평화기념관 81
목포어린이바다과학관 83
섬문화진흥원 85
구 목포일본영사관 87
구 목포일본영사관 방공호 89
국도 1·2호선 출발 기점 91
북교동성당 93
가톨릭성지 95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97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금고 99
고하도 조선육지면발상비 101
사월혁명학생기념비 103
구 목포청년회관 105
불종대 107
총순 구종명 불망비 109
이훈동정원 111
목포항 113
목포역 115
목포문화원 117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119
동본원사 121
갑자옥모자점 123
동아약국 125
영란횟집 127
태동반점 129
코롬방제과점 131
국제서림 133
한솔문고 135
오거리에 가면 시가 운다 137
3부
목포문학관 141
남농기념관 143
목포예술회관 145
해양문화재연구소 147
목포자연사박물관 149
문예역사관 151
목포생활도자박물관 153
제2 개항 선언 상징 기념탑 155
갓바위 157
춤추는 바다분수 159
4부
조선내화 163
보해양조 165
삼성출판박물관 167
구세약국 169
현대삼호중공업 171
해원산업 173
멜라콩다리 175
목포 물청거리 물장수 옥단이 177
부용산 179
북항 181
파란모자풍차등
기획의도
습지에는 지구상의 생물 중 약 2%가 살고 있고 해양생물의 약 60%가 산란하거나 서식한다. 습지는 육지와 물을 이어주는 중간단계의 생태적 환경특성으로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인다. 오랜 세월 동안 쌓인 많은 양의 퇴적물은 수생식물들이 대규모로 자랄 수 있게 만드는 여건이 되어주었고, 이 같은 환경은 식물을 시작으로, 절지동물, 양서류, 파충류, 조류 등 다양한 생물이 먹이사슬을 형성하며 공존하는 하나의 생태가 되었다.
한강의 마지막 지류인 공릉천 하류(교하강는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교하’ 들판을 흐르며 거대한 습지를 이루고 있다. 갈대 자생군락과 조수간만의 차이가 커서 먹이가 풍부해 많은 새들이 찾는다. 특히 민간인통제구역인 일부 지역에서는 역설적이게도 다른 곳보다 더욱 잘 보전된 생태를 만날 수 있다. 그런데 세계에 내놓아도 자랑할 만한 풍경과 종 다양성을 갖추고 있던 교하습지가 최근 개발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습지에서 볼 수 있던 새와 생물종의 종류와 수가 현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은 15년 가까이 기록해온 사진 작업을 통해 우리가 잃어버리면 안 되는 것에 관해, 자연이 얼마나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있고 강한 힘을 가지고 있는가에 관해, 동시에 무분별한 개발 앞에서 자연이 어떻게 무력해지는가에 관해 말하고자 한다.
저자인 황헌만 작가는 ‘임진강’을 비롯하여 많은 생태사진 작업과 출판을 해왔다. 사라지는 풍경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가진 작가의 사진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새들의 안부를 묻고, 교하습지를 기억하기를 바란다.
책의 내용
역사를 품은 교하들판, 생태계의 보고
‘교하’는 의미있는 두 강, 즉 강원도에서 발원해 동서를 가로지르는 한강과 북녘땅에서 내려온 임진강이 만난다는 뜻에서 붙여진 지명이다. 물이 풍부하고 땅이 기름져 삼국시대에는 서로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전투를 벌인 지역이다. 백제, 고구려, 신라가 차례로 이 지역을 차지했으며 신라 경덕왕 때 ‘교하군’이라 칭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