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여경하는 슬픔 : 차별과 차이 사이 그 어디쯤
1장 여자랑은 말이 안 통해, 남자 경찰로 바꿔요
들어오지 말라니 더 들어가겠습니다
나를 만나려면 경제팀 쌈닭을 찾으세요
내장탕이요? 좋죠. 갑시다!
안정적인 직업이라서 경찰한다는 그 말
‘왕초보’ 딱지를 떼던 날
나는 더 단단해질 것이다
여경은 반드시 열정을 증명해야 하지
연대 그리고 제복의 힘 덕분에, 다시!
2장 내가 먼저 정의가 되어야 했다
고맙다, 스물둘의 이지은!
면접장에서 선보인 뒤돌려차기
장쾌한 활극 ‘경찰청 사람들’을 꿈꾸다
출산휴가 들어가던 날
차별은 폴리스 라인 밖으로
왜 지금 고백하냐고 묻는 이들에게
20대 여경의 쇼트커트 잔혹사
홍등가에 첫 둥지를 튼 김 순경
2부 경찰하는 기쁨 : 모두의 아픔과 고통이 지워지는 그 어디쯤
3장 한 사람의 노력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정인이의 스웨터
세상이 좋아지고 있다는 증거가 되고 싶다
여자 형사라서 여자 편에 서는 겁니까
은혜도 모르는 못된 딸이 경찰이 되었습니다
여기 여자가 어딨습니까, 경찰이지!
내가 있어야 할 곳은 지구대!
아이야, 경찰서에 온 사실조차 잊으렴
4장 마음이 뜨거워서 경찰이 된 여자들
맨날 시체 보고 피 보고 할 수 있겠어?
나는 아프리카 유엔경찰이다
권력, 제가 탐해도 되겠습니까?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제압하라
꿀벌의 실종과 여경
함께하면 오래 멀리 갈 수 있다
나의 타임리프 이야기
지구대, 명품 드라마는 있다
“여기 여자가 어딨습니까, 경찰이지!”
우리가 귀 기울여 들어야 하는 담대한 목소리
추석날이었다. 명절이니 경찰관도 쉬라고 하는 건지 날씨도 좋고 신고도 없고 모든 게 평온하기만 했다. 그즈음 ‘00음식점에서 남성 두 명이 주인을 괴롭힌다’는 내용의 112신고가 떨어졌다. 현장에 도착하니 남성 두 명이 인도 경계석에 걸터앉아 있었다. 경찰관을 발견한 가해자 중 한 명이 나를 보고 “여자다!”라고 큰소리쳤다. 나는 더 크고 단호한 목소리로 말했다. “여기 여자가 어딨습니까! 경찰이지!” (-본문 중에서
이 책의 필자로 참여한 김소영 경찰관의 이야기이다. ‘경찰은 곧 남성’이며, 여성 경찰은 경찰이기 전에 여성으로 보인다는 것, 여경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은 딱 이만큼인지도 모른다. 김소영 경찰관은 이렇게 대응한다. “여기 여자가 어딨습니까! 경찰이지!” 그녀의 외침에 어떤 숙연함마저 느껴지는 건, 차별에 대한 저항과 경찰에 대한 당당한 자부심이 우리 마음에 공명을 일으키기 때문이 아닐까.
하버드대 최초 여성학 교수를 지낸 저명한 심리학자 캐롤 길리건은 《담대한 목소리》(생각정원 펴냄에서 우리 사회가 ‘여성의 목소리’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오랜 세월 동안 인류는 여성성과 남성성으로 나뉘면서 남녀 모두 ‘자기 목소리’를 잃고 상처 입고 불행해졌다는 것. 그리하여 차별을 반대하는 여성의 몸짓과 저항하는 ‘목소리’에 귀 기울일 때 비로소 인류가 행복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 길리건 박사의 주장이다.
이 책은 70여 년 대한민국 경찰 역사 처음으로 여경들의 한목소리를 담았다. 경찰조직 안팎에서 일어나는 여경에 대한 편견과 차별, 혐오의 모습들, 남성의 수가 압도적인 조직에서 여경들 대부분은 첫발을 내디딜 때부터 경찰에 걸맞지 않은 사람, 남자 경찰과 다른 ‘그 밖의’ 존재로 간주되어 왔다. 이 때문에 환영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역량을 발휘할 기회조차 제대로 얻지 못했다. 경찰이란 특수성으로, 차별에 대한 여경들의 항의마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