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시작하며
시대정신과 임옥상
외세 016
민중사관-계몽 020
근현대미술과 임옥상
한국풍 인상주의 028
단색화 작풍 033
삶의 미술 040
천민의 표현 040 / 부조리-참여 045 / 행동주의-모더니즘 056
현대미술의 정상화
동양화와 서양화 064
예술보다 삶 064 / 구조-계몽의 시작 068
퍼포머-화가 072 / 재현-제시 076
현대사회의 미술 081
소시민 정서의 리얼리즘 081 / 민중미술의 에토스 속으로 083 /
현대 예술혼의 모더니티 문명 비판 086 /
자연의 영성-예술의 영성 091 / 역사의 음울 094
민중미술운동 098
모더니스트의 리얼리즘 098 / 새로운 한국현대미술운동 103
임옥상의 미술론 113 / 민중미술의 퇴조 118 / 역사화歷史畵 121
민주화 이후의 한국 미술계와 임옥상
광주비엔날레 128
큐레이터·이론-문화권력 132
벽 없는 미술관 140
임옥상
빛으로 가득찬 방 146
전위의 굴레 149
예술보다 삶 155
예술이라는 황홀경 159
글을 끝내며
임옥상의 임옥상 168
민중미술과 임옥상 170
미주
작품 도판
임옥상의 청년 시절, 그럼에도 한국은 서서히 현대 산업사회로 진입했고, 군부독재 치하에서도 일정하게는 저항적 대중문화의 장들이 생겨났다. 전통과 동시대 서구 현대문화의 반전통주의 등 비동시적인 관념들, 세계들, 현상들, 시대정신들이 동시대 안에 섞여 개인과 사회의 정신을 지배했다. 생활상에서의 지향과 의지의 반목과 질시와 대립들이 가치관의 상호 억압으로 이어졌다. 사람들의 의식을 갉아먹었다. 그리고 어느덧 그 뜨거운 양철지붕 같았던 들끓음은 물화物化된 강력한 역능puissance 시스템이 됐다. 이 과정에서 개인은 오로지 ‘잘살아보고’ 싶어서, 살아남기 위해서 굽어버린, 왜곡된 마디마디 변명으로 소용돌이치는 삶의 족적을 남겨왔다. 이 과정에서 ‘진실’의 의미에 대한 논의 복합체 즉 이론과 실천투쟁 그리고 담론 복합체들 간의 이합집산과 분화, 분열의 역사가 민주화운동의 실제 궤적이었다. 진실은 강 바닥에 가라앉거나 강물과 함께 떠내려갔어도 ‘시대정신’은 외나무다리로 시대를 건너갈 길을 제공했으나, 강안의 풍경들이 기억하는 진실은 외나무다리 위의 ‘사건들’이었다. 그런데 사건들에 대한 기억조차 왜곡의 거울상이 되었다. 기억이 만화경으로써 원근법을 담아냈다.
이런 현실에 눈뜨면서 임옥상은 자신을 왜소하게 만드는 체제 시대정신의 저열함과 미술계의 실제 왜소함도 알아갔다. 예술의 비판정신이 ‘가난한 지식인의 계급의식이거나 정치적 행위’로만 여겨지던 사회가 당시 한국 사회였다. 작가 임옥상(1950~ 은 미술계의 중심에 서고 싶다는, 작가라면 누구나 꿈꿨을 그런 강렬한 욕망으로 자신이 사는 시대와 그 시대 한국 미술이 당면한 이런 식의 문제들을 마주해왔다.
책 속으로
시대정신과 임옥상
민중사관-계몽
임옥상은 대학 입학 후 일련의 비판적 지성사의 흐름을 접하게 된다. 대학문화에 민중민주주의 전통이 일정하게 매개되어 가능한 일이었다. 그는 이 흐름에 동참하기로 결정한다. 이 결정이 이후 생의 여정에 대한 그의 질문과 답을 사실상 좌우했다. 비판도 자신이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