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차
3부 일반주의 사회복지
제8장 역량강화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3
역량강화 기반의 사회복지실천 6
ㆍ 숙련된 전문가부터 협력적인 파트너까지 8
ㆍ 일반주의 접근 8
전문적 관계 형성 - 면접단계 10
ㆍ 전문적 관계 형성: 파트너십 형성 11
ㆍ 전문적 관계 형성: 문제 상황의 명료화 15
ㆍ 전문적 관계 형성: 방향 설정 18
사정 - 발견단계 22
ㆍ 사정: 강점 확인 22
ㆍ 사정: 자원능력 사정 24
ㆍ 사정: 해결방안 구축 29
실행: 개입과 평가 - 개발단계 34
ㆍ 개입: 자원 활성화 35
ㆍ 개입: 동맹 관계 형성 36
ㆍ 개입: 기회 확장 38
ㆍ 평가: 성취 확인 42
ㆍ 개입: 획득한 성취의 통합 47
복습과 예습 49
생각해보기 50
제9장 사회복지 기능과 역할 53
일반주의 접근 56
ㆍ 사회복지의 기능 57
ㆍ 사회복지의 역할과 전략 58
자문 60
ㆍ 미시적 수준: 조력자 역할 62
ㆍ 중시적 수준: 촉진자 역할 65
ㆍ 거시적 수준: 계획가 역할 68
ㆍ 전문적 체계: 동료와 감독자 역할 70
자원관리 72
ㆍ 미시적 수준: 중개자와 옹호자 역할 75
ㆍ 중시적 수준: 소집자와 중재자 역할 79
ㆍ 거시적 수준: 활동가 역할 81
ㆍ 전문적 체계: 촉매자 역할 83
교육 85
ㆍ 미시적 수준: 교사 역할 87
ㆍ 중시적 수준: 훈련가 역할 88
ㆍ 거시적 수준: 아웃리치 활동가 역할 90
ㆍ 전문적 체계: 연구자와 학자 역할 93
복습과 예습 95
생각해보기 96
제10장 사회복지와 사회정책 97
사회정책 99
ㆍ 사회정책은 무엇인가 100
ㆍ 과정으로서의 사회정책: 정책 형성 100
ㆍ 결과로서의 사회정책: 정책 실행 101
ㆍ 사회정책 검토: 정책 분석 102
ㆍ 입법 분석과 실행 104
ㆍ 사회정책과 정치 이데올로기 106
ㆍ 사회복지와 정치 이데올로기 108
사회복지와 사회정책 110
책의 구조
이 책은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영역인 ‘사회복지 전문직’에서는 사회복지는 “누가, 무엇을, 왜, 어디서” 하는지와 사회서비스 전달체계들을 살펴본다.
1장에서는 사회복지의 개념을 정의하고, 전문직의 목적과 실천현장의 개요를 검토하며, 역량강화 기반의 사회복지실천을 소개하고 있다.
2장에서는 사회복지 역사에서의 다양성의 의의를 포함한 사회복지 전문직의 역사적 뿌리를 다루고, 전문직 지식과 가치, 기술의 기반을 서술하고 있다.
3장에서는 실천을 위한 사회체계와 생태학적 개념틀을 소개하고, 미시, 중시, 거시적 차원의 클라이언트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4장에서는 사회서비스 전달 네트워크의 중요한 요소들을 설명하고 있다.
두 번째 영역인 ‘사회복지실천 관점’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을 구성하고 또 영향을 미치는 가치와 사회정의, 다양성과 차이 요소들을 검토한다.
5장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적 기반들을 설명하고 있다.
6장에서는 사회정의와 인권, “-주의”와 정의, 사회정의의 이론적 기반 그리고 사회복지실천의 함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7장에서는 문화 정체성과 상호교차성의 맥락에서 다양성과 차이, 그리고 다문화 사회복지실천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가치, 기술을 다루고 있다.
세 번째 영역인 ‘일반주의 사회복지’에서는 핵심 과정, 역할 및 전략과 관련된 사회복지 기능, 정책을 포함한 모든 체계 수준에서 일반주의 사회복지사를 위한 역량강화 접근에 대해 소개한다.
8장에서는 실천가와 클라이언트 간의 협력적인 파트너십의 본질을 설명하고, 일반주의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역량강화 과정을 간략하게 기술하고 있다.
9장에서는 자문, 자원관리, 교육에서의 사회복지의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역할과 전략들을 소개하고 있다.
10장에서는 사회복지와 사회정책의 관계를 탐색하고, 사회복지정책과 서비스의 주요한 역사와 현황들을 검토하고 있다.
네 번째 영역인 ‘실천현장의 이슈’에서는 공공복지와 건강,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