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성경신학적인 서사의 전망에서
1장 아우토 바실레이아
1. “아우토 바실레이아”
2. 구약의 빛에서 읽는 “아우토 바실레이아”
3. 신약의 빛에서 읽는 “아우토 바실레이아”
4. 종말의 빛에서 읽는 “아우토 바실레이아”
2장 현존하는 하나님 나라
1. 예수의 세례
2. 예수의 십자가와 부활
3. 십자가와 부활의 구속사적인 의미
4. 십자가와 부활의 구원서정적인 의미
5. 십자가와 부활의 담지자로서 종말론적 공동체인 교회
3장 미래의 하나님 나라
1. 신약의 하나님 나라의 두 다른 전망
2. 미래 하나님 나라
4장 갈등하는 하나님 나라
1. 하나님 나라의 “이미”와 “아직 아니”
2. 갈등하는 하나님 나라
5장 하나님 나라의 다양한 존재 방식
1. 하나님 나라의 존재 방식
2. 구속의 장을 딛고 보편적인 통치로 발돋움하는 길목
3. 하나님의 통치와 공공의 선
제2부 조직신학적인 통합의 전망에서
6장 일반계시와 특별계시 사이에서 드러나는 하나님 나라
1. 카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
2. 에밀 부르너(Emil Brunner, 1889-1966
3. 코르넬리우스 반틸(Cornelius Van Til, 1895-1987
4.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
7장 광장에 선 교회와 하나님 나라의 공공적 현존
1. 창조에 내포된 하나님 나라
2. 온 땅을 두루 감찰하는 여호와의 눈
3. 기존 사회에서 모색하는 교회의 다양한 양상
4. 하나님 나라의 보편적인 지평을 품은 공동체로서의 교회
8장 계몽주의적인 유토피아니즘을 넘어서는 하나님 나라
1. 계몽주의적인 유토피아니즘
2. 계몽주의적 유토피아니즘의 파국으로서 하나님 나라
3. 공공신학, 광장신학은 하나님 나라를 반영하는 신학인가?
4. 공공신학의 한 장으로서 기독교대학교
5. 소망에서 실현되는 하나님 나라
9장 종교적 광장에 선 하나님 나라
1. 한민
책 속에서
P. 56
이런 측면에서 오리게네스가 언급한 “아우토 바실레이아”(α?τ? βασιλε?α는 매우 핵심적인 하나님 나라 개념을 구성한다. 하나님 나라는 근본적으로 그리스도 예수를 떠나서는 구성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렇다.
P. 84
그리스도 예수는 십자가와 부활로 이 역사의 한가운데 새로운 역사를 형성하는 종말론적인 토대를 놓았다. 하나님 나라를 묵상하면서 이런 지점을 깊이 묵상하여 반영하지 않는다면 중심을 벗어나 주변을 배회하는 우를 범하게 된다.
P. 95
그러나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교회는 ‘대안공동체’(alternative society이다. 이 세대 한복판에 있으면서도 변화하는 능력으로 이 세대를 품어 녹여낼 수 있는, 그리하여 변화된 삶의 자리를 창조적으로 만들어 가는 그런 공동체다.
P. 12
이런 점에서 초림에서 실현된 하나님 나라와 미래에 완결될 하나님 나라를 구별하여 이해하는 일은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서 그리스도인의 삶을 형성하는 일에 매우 중요한 장을 열어주는 것이다.
P. 151
그리스도인은 단순히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미 시작되었으나 아직 완성되지 않은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서 자신의 삶을 성령 안에서 펼쳐야 하는 과제 앞에 서 있다.
P. 172
하나님의 통치가 언약 백성인 이스라엘 공동체라는 영역(realm에만 제한될 수 없다. 하나님의 나라가 구원의 공동체를 근간으로 하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는 사실이지만, 구원의 공동체를 넘어서려는 집요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P. 183
교회가 하나님 나라의 구현으로서 자신의 실존을 명확히 견지하면서도, 교회의 울타리에 갇히지 않고, 기존 사회의 공공선의 기반을 일깨우고 강화하며, 그것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와 더불어 조화와 대화를 꾀하는 일에 지혜롭게 참여해야 한다. 이러한 공론의 장에서 교회는 수용적인 태도를 견지하면서 사회의 대화 파트너로 수용될 수 있을 정도... 더보기
P. 225
성경을 주의 깊게 읽을 때 하나님 나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