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기이자 성장기,
담장을 짚고 선 청소년을 위하여
산천을 유람하는 여인은 곤장 100대에 처한다는 법이 있던 시절이었으므로, 금원의 여행은 사실상 죽음까지도 각오한 도전이자 자유를 향한 갈망이었다. 무엇이 열네 살 소녀가 죽기까지 각오하게 만들었을까 질문하며 한 뼘씩 자라나는 금원을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레 여행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금원은 그저 멋진 풍광을 감상하기 위해서 떠난 것이 아니었다. 집을 나서기 전부터, 그리고 다시 집으로 돌아갈 때까지도 금원은 계속해서 질문한다. 나는 무엇인지, 제한된 운명 속에서 나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금원이 찾고 싶었고, 결국 찾아낸 건 ‘나’였다. 어찌 보면 여행이란 ‘나의 생활’ 가운데에서 ‘나’만 빼고 모든 것을 바꿔 결국 자신을 생생하게 마주하고 찾아가는 과정이 아닐까? 그렇다면 이 유쾌하고 산뜻한 여행기는 곧 금원의 성장기가 되고, 청소년 독자 각자의 성장기가 된다.
이제 여행은 얼마든지 할 수 있게 되었지만, 또 터무니없는 성차별이나 신분제는 사라졌지만 오늘날에도 세상에는 또 다른 담장이 수없이 존재한다. 금원이 여행을 떠났던 열네 살 즈음이 되면 청소년들은 그 담장의 존재를 실감하게 된다. 신분, 그리고 성별이라는 담장 앞에서도 어떻게든 자기 길을 가고자 노력했던 금원처럼 그들도 담벼락을 기어오르고 문과 길을 찾아 달리며 무럭무럭 자라나기를 《담장을 넘은 소녀》는 응원하고 있다.
책 속에서
여자도 공부해서 과거를 볼 수 있고, 신분 차별이 없는 세상이 올까? 신선들도 이 시대의 여자들이 불쌍해서 그런 꿈을 꾸게 했나. 금원은 피식 웃었다.
“턱없는 소리!”
금원은 자신이 뱉은 말에 깜짝 놀랐다. 그 말이 왠지 목에 걸린 가시처럼 기억 속에서 움찔거렸다.
_68쪽, 꿈속의 꿈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허투루 있는 것이 하나도 없다고 했어. 길가에 구르는 돌멩이도 그 쓰임이 있다는데, 나는 왜 여자로 태어났을까? 왜 내 인생을 내가 선택할 수 없을까?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