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 선비가 때를 만나지 못한 것을 슬퍼하는 부와 서문
-「감사불우부 병서(感士不遇賦 幷序」
관련 작품 1: 동중서(董仲舒 「사불우부(士不遇賦」
관련 작품 2: 사마천(司馬遷 「비사불우부(悲士不遇賦」
2. 감정을 가라앉히는 부와 서문
-「한정부 병서(閑情賦 幷序」
관련 작품 1: 장형(張衡 「정정부(定情賦」
관련 작품 2: 채옹(蔡邕 「정정부(靜情賦」
3. ‘돌아가리라’의 사와 서문
-「귀거래혜사 병서(歸去來兮辭 幷序」
관련 작품 1: 장형(張衡 「귀전부(歸田賦」
관련 작품 2: 소식(蘇軾 「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
관련 작품 3: 이인로(李仁老 「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
관련 작품 4: 이색(李穡 「독귀거래사(讀歸去來辭」
4. 복숭아꽃이 핀 수원(水源의 기문
-「도화원기(桃花源記」
관련 작품 1: 도연명(陶淵明 「도화원시(桃花源詩」
관련 작품 2: 왕안석(王安石 「도원행(桃源行」
관련 작품 3: 진화 「도원가(桃源歌」
5. 진나라 정서대장군의 장사(長史를 지낸, 돌아가신 맹부군(孟府君 전기
-「진고정서대장군장사맹부군전(晋故征西大將軍長史孟府君傳」
6. 오류선생 전기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
관련 작품: 백거이(白居易 「방도공구택 병서(訪陶公舊宅 幷序」
7. 사기를 읽고 나서 지은 9편
-「독사술 9장(讀史述 九章」
관련 작품: 도연명(陶淵明 「음주(飮酒」 제2수
8. 부채 위의 그림에 부치는 찬양
-「선상화찬(扇上畵贊」
관련 작품: 도연명(陶淵明 「권농(勸農」
9. 상장과 금경에 대한 찬양
-「상장금경찬(尙長禽慶贊」
10. 아들 엄 등에게 주는 글
-「여자엄등소(與子儼等疏」
관련 작품 1: 도연명(陶淵明 「책자(責子」
관련 작품 2: 도연명(陶淵明 「명자(命子」
11. 정씨에게 시집간 누이동생에 대한 제문
-「제정씨매문(祭程氏妹文」
12. 사촌동생 경원(敬遠에 대한 제문
-「제종제경원문(祭從弟敬遠文」
관련 작품: 도연명(陶淵明 「계묘세십이월
중국 고전 문학의 대표 문인 도연명,
지조를 지키며 현실적 고뇌의 초월을 그리다
도연명은 중국의 위진남북조 시기인 동진(東晉에서 송(宋으로 왕조가 교체되는 혼란기를 살면서 자신의 개성과 지조를 곧게 견지했던 사람이다. 그는 젊은 시절에는 유가적 소양을 닦았고 전원으로 돌아간 후에는 도가적 가르침을 생활 속에 실천하였는데, 특히 장자(莊子의 영향이 지대하였다. 도연명은 소요유(逍遙遊의 경지이자 삶의 터전인 전원에서 직접 농사지으면서 도가의 가르침에 따라 살았고 그 감회와 깨달음을 시문(詩文으로 형상화해 내었다. 이후 그의 삶과 그가 남긴 작품은 혼란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이성을 잃지 않고 참된 자아를 유지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하였다.
『문선(文選』을 엮은 것으로 유명한 남조(南朝 양(梁나라의 소명태자(昭明太子 소통(蕭統, 501-531은 도연명이 죽고 100여 년이 지난 뒤에 도연명의 시문을 모으고 교감하여 『도연명집(陶淵明集』을 편찬하였다. 그 내력을 기록한 「서문」에서 그는, “도연명의 글을 제대로 읽을 수 있는 자가 있다면, 치달리며 다투는 마음이 버려지고 천박하고 인색한 뜻이 사라질 것이며, 탐욕스런 자가 청렴해질 수 있고 나약한 자가 뜻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有能觀淵明之文者, 馳競之情遣, 鄙吝之意祛, 貪夫可以廉, 懦夫可以立.”라고 하였다. 도연명의 글이 물욕에 이끌려 길을 헤매는 이들에게 앞길을 비춰주는 빛이 될 것임을 선언한 말이다.
도연명이 남긴 산문은 13편이 전한다. 많지 않은 분량이지만 그 가운데에는 「귀거래혜사(歸去來兮辭」, 「도화원기(桃花源記」,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 등 주옥같은 명편들이 있다. 그가 팽택현(彭澤縣의 현령 자리를 버리고 전원으로 돌아간 뒤에 그간의 사정과 당시의 심경, 장래의 각오 등을 서술한 「귀거래혜사」는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에 의해 애송되고 있는 불후의 명작이다. 도연명은 이 글에서 밝힌 지향을 평생토록 추구하였고 실천하였으니, 자기 자신의 ‘좌우명(座右銘’과 같은 글이라고 하겠다.
登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