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안부를 전하는 편지 / 김해주
동시대를 넘어서 / 안규철
개념 미술의 시적 변환: 안규철 전시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를 중심으로 / 이찬웅
무한한 현존 / 보리스 그로이스
안규철, 세상에 대한 골똘한 관찰자 / 우정아
사물들: 위반의 미학 / 김성원
대화 / 안규철·김선정
사물과 언어 사이를 가로지르기로부터 예술의 효용성으로 / 최태만
언어 같은 사물, 사물 같은 언어 / 이건수
삶의 부재를 사유하는 공간 / 안소연
나의 작가적 전개 과정에 대해 / 안규철
작가적 슬럼프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곱 가지 작업 / 안규철
나의 미술 작업과 만화적 상상력 / 안규철
바깥의 ‘흔적’을 담은 메타 미술 / 윤난지
시(詩와 자: 안규철의 조각 / 박찬경
그림, 요리, 사냥 / 안규철
도판 목록 및 작가 노트
출처
삶과 예술의 문 앞에서 아무것도 아니면서 모든 것을 해 온 안규철의 30년
미술의 잠재력 가운데 하나가 눈에 보이지 않는 세상의 이면을 우리에게 보여 주는 것이라면, 지난 30년간 안규철만큼 그 작업을 성실히 수행해 온 작가를 찾기란 쉽지 않다. 미술이 지닌 급진성 가운데 하나가, 시대를 향해 깨어 있는 질문을 던지는 데 있다면 그 역시 안규철만큼 성실한 질문자를 찾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매일아침 책상에 앉아 작업 노트를 써 내려가며 하루를 시작하는 그에게 질문은 미술에 선행하는 행위다. “동시대의 소모품으로 쓰이기를 거부하고 시대의 요구에 다르게 응답하는 것, 다른 방식으로 가치 있는 삶을 실천하는 것”이야말로 그가 미술을 하는 이유이기 때문이다.
1977년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1980년부터 7년간 『계간미술』 기자로 일하며 현실의 미술과 부딪힌 그는 1985년 무렵 ‘현실과 발언’에 참여하며 작가로서 자신을 의식하기 시작했다. 모더니즘과 민중미술의 이념이 첨예하게 부딪혔던 당시, 한국 미술계에 범람하던 기념비적 조각에 맞서 ‘이야기 조각’, ‘풍경 조각’이라 불리는 미니어처 작업을 선보이던 안규철은 1987년, 서른세 살의 나이에 불현듯 유럽으로 유학을 떠난다.
이념 싸움에 골몰하던 답답한 현실을 벗어나 “미술이 더 근본적으로 지금의 시대 전체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가지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으로 선택한 유학에서 그를 기다리던 것은 그러나, 유럽과 우리나라 사이에 놓인 커다란 시차(時差였다. 이미 20여 년 전에 68혁명을 겪은 그곳에서, 1980년대 민주화운동의 절정기에 바다를 건너온 이방인은 지금까지 자신이 지녀 온 미술의 언어를 버려야 했다. 초기작 「무명작가를 위한 다섯 개의 질문」(1991/2021은 그 과정에서 나온 산물이다.
방 안에 두 개의 문이 있다. 하나는 ‘예술’이라는 단어가 적힌, 손잡이가 다섯 개인 문이고, 다른 하나는 ‘삶’이라는 단어가 적힌, 손잡이가 없는 문이다. 손잡이가 없으니 삶의 문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