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해금 : 성공한 근대화, 실패한 근대화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총서 99
저자 김석균
출판사 예미
출판일 2022-11-15
정가 18,000원
ISBN 9791189877965
수량
서문 4

제1편 개해의 유럽
제1장 유럽의 대양 진출
근세로 항해한 유럽 15 | 문명의 혼합 17 | 범선, 대포, 머스킷 총 19 | 부를 향한 모험 21 | 운명의 이베리아반도 24 | 항해 왕자 엔히크의 꿈 26 | ’세상의 변경‘을 넘어선 항해 28 | 희망봉을 돌아 인도로 31 | 콜럼버스의 서쪽 항해 32 | 운명의 피노스 다리 36 | 신대륙 발견의 세계사적 의미 36 | 남반구 해양을 반분한 토르데시야스 조약 37 | 태평양을 반분한 사라고사 조약 39 | 포르투갈의 폭력적인 해상무역 40 | 바다의 제국 42 | 해양제국의 쇠락과 네덜란드의 부상 44
제2장 자본주의제도의 탄생과 동인도회사
아시아 진출의 원동력 47 | 대항해시대가 발전시킨 자본주의제도 48 | 바다로 내몰린 네덜란드 51 | 항해 안내서와 동방무역 진출 53 |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얀 56 | 네덜란드의 폭력적 아시아 진출 58 | 섬나라 영국의 해적질 61 | 약탈에서 무역으로 64 | 영국 동인도회사의 동방 진출 65 | 국가가 주도한 프랑스 동인도회사 67 | 후추와 향신료 68 | 급증하는 차와 면직물 수입 69 | 높은 수익을 안겨 준 아시아 역내무역 72 | ‘아시아 침탈의 첨병’ 동인도회사의 몰락 73

제2편 해금의 동아시아
제3장 동아시아의 반해양 정책
명의 해금령 79 | 청의 천계령 81 | 떠오르는 개해론 82 | 찬란한 중국 해양문명의 쇠퇴 84 | 정화의 대원정 86 | 해금의 세계사적 의미 88 | 중화주의 세계관에 빠진 중국 90 | 기독교를 받아들인 다이묘들 92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금교령 95 | 에도 막부의 해외무역 96 | 기독교 금지와 해금 99 | 서구를 향한 열린 창, 데지마 102 | 중국보다 강력한 조선의 해금령 104
제4장 자유무역과 해금의 충돌
중국의 폐쇄적 농업경제 108 | 대역전의 시작, 산업혁명 110 | 영국의 포용적 정치·경제 체제 112 | 혁신을 가로막는 중국의 절대주의 체제 115
동양과 서양, 역사의 명암을 뒤바꾼 키워드 “해금”

1500년부터 1800년까지 3세기 동안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생산성 높은 경제를 자랑했다.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2가 아시아에 거주했으며, 세계 생산의 약 80퍼센트를 아시아가 담당하고 있었다. 특히 중국의 산업 총생산량이 전 세계의 33퍼센트에 이르렀는데, 이는 같은 시기 유럽 전체의 산업 총생산량을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다. 그러나 불과 100년 후 유럽은 단숨에 아시아의 경제를 뛰어넘고 역사의 승자가 되었다. 이 책 《해금》은 동서양의 부가 역전되고 서양 우위의 역사가 지속되게 된 근원을 찾아 대항해시대로, 그리고 해금령이 시작된 명·청시대와 근대화의 여명이 비친 조선, 일본의 개화기로 독자들을 안내한다.

개해의 유럽, 해금의 동아시아

제1편 ‘개해의 유럽’에서는 중세의 암흑을 벗어난 유럽인들이 자본주의, 과학기술로 무장한 채 해양 개척에 뛰어드는 대항해시대 이야기가 펼쳐진다. 유럽인들은 기독교 전파를 해양 진출의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사실 그들을 바다로 이끈 것은 부에 대한 열망이었다. 동방무역 선단이 아시아에서 향신료를 싣고 무사히 돌아오면, 선단과 투자자는 많게는 60배의 이익을 거둘 수 있었다고 한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일확천금의 꿈을 안고 동방 무역항로를 개척하고, 무력으로 개척지를 제압해 가며 강력한 해상 네크워크를 형성하는 과정, 그리고 네덜란드와 영국에 해상패권을 넘겨준 이후까지의 과정을 파노라마처럼 펼쳐서 보여준다.
2편 ‘해금의 동아시아’에서는 중국과 조선, 일본으로 시선을 돌려 당시 동아시아 3국의 상황을 살펴본다. 송·원대에 중국은 세계 최고의 해양국가였다. 동남아시아, 인도를 거쳐 페르시아만의 호르무즈로 연결되는 해상 실크로드를 개척했다. 그러나 명나라가 들어선 이후 돌연 해금령을 실시하고 고립의 길을 선택한 중화세계가 이후 유럽 열강에 철저히 짓밟히고 아편전쟁으로 이어지게 되는 19세기 중반으로 함께 떠나본다.

근대화의 성공과 실패 원인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