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판에 부쳐 5
서론: 소은의 ‘존재론’ 개념 9
존재론에의 길 14·헬라스 사유의 기반 25
1부 존재론의 탄생 39
1장 헬라스 존재론의 뿌리와 구도 41
철학의 ‘탄생’ 문제 43·전(前존재론적 뿌리들 50·동일성의 의미 69·충족이유율 81·허무주의의 극복 88
2부 플라톤의 존재론 95
2장 소피스트들, 소크라테스, ‘아레테’ 97
‘소피스트’란 누구인가? 98·덕은 하나인가 여럿인가? 112·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들의 대결 127
3장 ‘자기운동자’에서 ‘생명’으로 151
자기운동자=영혼의 불멸성 155·기억으로서의 생명 166
4장 이성적 존재로서의 자연 173
세 가지 근원 178·아낭케는 무엇이 아닌가 187·아낭케란
무엇인가 1: 공간성 197·아낭케란 무엇인가 2: 방황성 205
5장 아페이론의 문제 217
물질성으로서의 아페이론 -『티마이오스』 218·유동성으로서의
아페이론 -『파르메니데스』 228·연속성으로서의 아페이론 -
『필레보스』 243·플라톤 철학에 있어 아페이론의 의미 258
6장 인식, 존재, 가치 265
인식과 존재 266·존재와 가치 281
3부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헤겔까지 295
7장 플라톤 이후의 서구 존재론사 301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시아’ 개념 302·존재론의 몰락: 윤리와
종교의 시대 319·중세 존재론에서 근세 존재론으로 330·
근대 존재론 비판 342
4부 베르그송의 존재론 349
8장 서구 존재론사로부터의 탈주 351
고전적 존재론의 극복 353·근대적 결정론의 극복 385·
플라톤에서 베르그송으로 402
9장 생명의 약동 429
‘생명’ 개념에의 접근 430·기계론과 목적론 437·진화론의
진화: 눈의 예 447·생명의 약동 466·본능, 지능, 직관 478
10장 생명이란 무엇인가: 진화의 의미 493
베르그송 사유의 성격 494·생명과 물질의 투쟁 507·서구적
합리주의의 끝에서 528·‘생명
서구 존재론을 넘어 세계 존재론으로
- 소은 박홍규의 사유로 21세기 한국 철학의 외연을 넓히다
이 책은 철학자 이정우가 스승 박홍규의 사유세계를 정리한 2016년의 저작 『소은 박홍규와 서구 존재론사: 동일성과 차이생성』을 주제와 부제를 바꾸어 개정 출간한 것이다. 현재 한국 철학계의 대표적 학자들을 키워 낸 “한국의 소크라테스” 소은(素隱 박홍규. 그의 도저한 사상세계를 동·서양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철학사를 쓰는 데 오랜 세월을 바쳐 온 이정우의 시각으로 살펴본다.
소은의 사유는 지난 한 세기에 걸쳐 한국에서 전개된 서구 존재론사 이해의 정점을 이룬다. 그 중심은 아페이론의 사유와 생명철학이다. 우리의 시대는 동일성과 차이생성의 존재론을 동일자와 타자의 윤리학·정치철학으로 잇고 있으며, 생성존재론을 사건의 철학으로 잇고 있다. 그러나 후자의 흐름을 보다 정치하게 사유하려면 전자의 기초를 닦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 시작은 바로 소은의 서구 존재론사 분석을 습득하는 일이다. 소은 사유의 이해를 통해 우리는 21세기 한국 철학 전개의 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존재론은 메타과학이다”
소은의 관점으로 본 플라톤과 베르그송
소은에게 존재론사는 진리체계의 역사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미숙과 오류, 허위와 왜곡”의 역사이기도 하다. 헬라스 역사를 통해 철학, 특히 존재론이 탄생한 맥락을 검토해 보면, 결국 철학이란 종교, 신화, 주술로 구성된 세계에서 빠져나옴으로써 가능했기 때문이다. 박홍규는 이것을 ‘영혼이 자기 자신을 찾아낸 것’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그는 모든 형태의 주관주의를 거부하며, 주어진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에 부합하는 것만을 진정한 인식으로 인정하는 객관성의 철학, 사물의 철학, 데이터의 철학을 강조한다.
즉, 소은에게 존재론이란 과학사적으로 실증되어야 할 메타과학이다. 존재론의 데이터는 곧 과학의 탐구 결과들 전체이다. 존재론은 이 결과를 가장 종합적이고 근본적으로 성찰해 존재론적 가설을 제시하는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