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9
1부 수사학과 정치 연설 15
1장 왜 정치가의 말에 대해 말하는가 17
2장 수사학이란 말로 하는 정치 35
2부 정치 연설의 고전 67
3장 정치 연설의 교과서: 페리클레스의 “우리는 민주주의자다” 75
4장 짧지만 강한 연설: 에이브러햄 링컨의 은밀한 정치 기획 105
5장 운동가의 연설과 정치가의 연설: 프레더릭 더글러스 대 린든 존슨 141
6장 말로 전쟁을 수행하다: 윈스턴 처칠 175
7장 꺾이지 않는 의지와 저항의 메시지: 샤를 드골 189
8장 자유의 개념에 사회적 내용을 담다: 프랭클린 루스벨트 199
9장 화려한 정치 수사의 정수: 존 F. 케네디 221
3부 현대 정치 연설의 모델: 버락 오바마 235
10장 오바마 연설의 정치적 힘 237
11장 오바마의 연설 253
나가며: 정치적이되 아름다워야 한다 369
후주 388
참고문헌 392
찾아보기 397
1. 열광하는 정치, 지치고 상처받는 시민들
과거에 비해 정치 참여도 많아지고 정치에 열광하는 시민들도 적지 않은 반면, 정치에 지쳐 가는 사람들 또한 많아지고 있다. 왜일까. 21대 국회 출범 이후 윤리특위에 접수된 국회의원 징계안이 총 32건(2022년 11월 18일 기준이며, 징계안 제출 사유가 대부분 ‘막말’이었다고 한다. 임기가 아직 1년 반가량 남았음을 고려하면 20대(39건와 19대(43건와 비교해 꽤 많은 숫자인 데다가, 빈도와 수위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런 말들이란 대체로, 사실에 기초한 문제 제기보다는 상대와 상대의 의도를 나쁘게 규정하고 상처를 주고 반성을 요구함으로써 반발을 초래하는 언어, 대화를 할 수 없게(말을 섞지 못하게 만들 만큼 극강의 언어, 서로 마주보고 이견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뒤돌아 자신의 지지자들을 향해 말하는 언어들이다. 듣기도 힘든 말들이 많은데, 이렇게 언어를 사용하면 정치가 필연적으로 망가지고, 사람들은 정치에 지치거나 상처받게 된다는 것이 이 책의 문제의식이다.
2. 왜 사나운 정치적 말이 문제인가? 진리는 의견과 의견 사이에 있기 때문
우리가 토론을 하는 이유는 진리가 어느 한쪽이 아니라, 의견과 의견 사이, 찬성과 반대 사이에 있기 때문이다. 국회를 두지 않고, 선거에서 다수의 지지를 받은 정당이 4년이나 5년 동안 책임 있게 법을 만들고 정책을 결정하면 되는데, 그렇게 하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공공정책에서 좋은 결정은 여나 야 어느 한 방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여야 사이에 있기 때문이다. 국회에서 이루어지는 발의, 심의, 조정 등의 과정도 국회 나름대로 여야가 그 사이에서 좋은 결정을 찾아가도록 되어 있는 구조다. 그런데 대화의 여지를 없애는 사나운 언어가 난무하는 동안, 시민들이 보람 있게 사회생활을 하고 삶의 기쁨을 누릴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가야 할 정치의 역할이 약해지고 있는 것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가는 ‘말’로 변화를 만들어 가는 사람이다. 정치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