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과 방법
2. 연구 내용과 구성
제2장 이론
1. 국가, 스포츠, 헤게모니
2. 국가전략과 체육사업
제3장 국가건설 시기(1945~1950: 인민체육
1. 국가건설 전략과 인민체육 사업
2. 국가건설 시기 대내 체육활동
3. 국가건설 시기 대외 체육활동
4. 소결: 총화 내용과 평가
[보론] 6·25전쟁 기간(1950~1953: 국방체육
1. 전시체제, 체육사업 개편
2. 국방체육 중심 활동
제4장 국가재건 시기(1953~1960: 군중체육
1. 국가재건 전략과 군중체육 사업
2. 국가재건 시기 대내 체육활동
3. 국가재건 시기 대외 체육활동
4. 소결: 총화 내용과 평가
제5장 국가발전 시기(1961~1970: 국방체육
1. 국가발전 전략과 국방체육 사업
2. 국가발전 시기 대내 체육활동
3. 국가발전 시기 대외 체육활동
4. 소결: 총화 내용과 평가
제6장 결론: 선군체육의 기원(1945~1970
북한 김정은은 왜 ‘스포츠’에 몰두할까?
김정은이 후계자로 등장한 2011년에는 ‘축구강국, 체육강국’을 표방했다. 북한의 체육관계자들이 총집결한 ‘선군체육열성자회의’도 개최했다. 2012년 가을에는 당시 실세로 불리던 장성택을 위원장으로 당/정/군을 포괄하는 ‘국가체육지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경색된 남북관계 속에서도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에 대규모 선수단을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도 보였다. 북한이 이처럼 막대한 예산과 대규모 인원을 동원하면서까지 스포츠에 열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전히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강대국과의 갈등이 현존하는 상황에서 신기루 같은 ‘스포츠’에 막대한 국가적 에너지를 쏟아 붇는 이유는 과연 어디에 있을까? 이 책은 이러한 의문으로부터 출발했다.
스포츠는 북한이 강대국과 겨뤄 쉽게 성과를 내보일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국제경기 우승은 최고 지도자의 리더십으로 포장되고 있다. 축구, 사격, 권투, 역도 등 승산 있는 종목들이 집중 육성되고 있으며, 선수들에게는 특히 유일사상과 군대정신 등 정신력이 승패의 관건으로 강조된다. 북한 청년 대부분이 군대에 속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좋아하는 스포츠경기는 정치사상교양과 육체교양을 아우르는 좋은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북한의 ‘선군체육’ 방식은 2011년에 표면화되었다. 하지만 그 뿌리는 1960년대 후반에 북한 전역에서 실시되었던 ‘국방체육’의 특성을 계승하고 있다. 당시 김일성은 강대국과의 관계 변화 속에서 군사경제와 군대체육을 강화했다. 이 시기 국방을 위한 체육의 방식은 1969년 체육인대회에서 김일성 연설로 총정리되었다. 이후 1970~1980년대 김정일이 주도한 ‘주체적인 체육기술과 사상’의 기본 토대가 되었으며, 2010년대 김정은 시기에 이르러서도 군대를 중심으로 하는 선군체육의 방식에서 주요 종목으로 실시되고 있다. (책을 펴내며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