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프롤로그: 엔지니어링과 과학의 개념적 차이는 작지 않다
1장 과학의 어머니, 엔지니어링
엔지니어링은 과학이 탄생하기 전부터 존재했다│엔지니어링의 도움 없이는 과학도 없다
2장 왜 과학은 최종적인 답이 될 수 없는가
과학은 비판에 그칠 뿐이다│과학은 실패를 두려워한다│과학은 원인이 아니라 결과일 수 있다
3장 엔지니어링은 세상에 해결책을 내놓는다
엔지니어링은 만드는 것이다│엔지니어링은 미학적이다│엔지니어링은 실패를 통해 더욱 단단해진다
4장 사실은 그들도 엔지니어였다
스스로 엔지니어라고 생각한 과학자들│사실상 최고의 엔지니어였던 인물들
5장 엔지니어에게 답을 찾아라
세상을 바꾸는 힘, 엔지니어링│엔지니어링 정신에 미래가 있다
참고문헌
공학은 무엇이며 엔지니어는 무엇을 하는 사람인지
공학에 관심을 가진 청소년, 공대생, 그리고 일반인까지
우리가 공학을 제대로 알아야 하는 이유!
지난 7월부터 일본 정부는 반도체에 필요한 핵심 부품을 한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제한하기로 발표했다. 지금까지 한국은 소재와 부품 등을 일본의 원천기술에 많이 의존해왔다. 국내 원천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우리 정부는 수출 규제에 해당하는 핵심품목의 연구개발에 3년간 5조 원 이상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앞으로 원천기술 개발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흔히 원천기술은 기초과학에서 탄생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과학이 원리를 발견하고 이를 공학에서 응용하고 개발하여 기술이 나온다고 알고 있다. 그렇다면 기초과학에만 자원을 투자하면 실제로 기술을 실현하는 공학도 같이 자연스럽게 발전할까? 전혀 그렇지 않다. 우리가 이러한 사실을 구분하지 못한다면 사회의 변화를 읽고 미래를 준비할 수 없을 것이다.
공학의 미래를 위하여
예전부터 공학이 강력한 나라들은 모두 초강대국의 지위에 올라섰다. 21세기의 중국, 20세기의 미국, 19세기의 영국이 그렇다. 이들 세 나라는 압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산력과 군사력을 갖출 수 있었다. 공학이 강한 나라 치고 별 볼 일 없는 나라가 없고, 공학이 약한 나라 치고 오래 가는 나라가 없다는 사실은 역사가 증명한다.
현재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최첨단 기술 분야는 우리가 예측하지 못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중이다. 세계적으로 이공계 인재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공계 전문 인력의 양성은 국가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한국은 2000년대 들어서 한동안 이공계 진학을 기피하는 현상이 있었다. 이공계 직업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과 엔지니어에 대한 사회적인 차별과 대우가 미비하단 게 그 이유였다.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알파고로 이공계에 관한 관심이 많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2018년 서울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