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대승기신론 개요
대승이란 무엇인가
경전에서 밝히는 대승정신
<기신론>에서의 대승의 설명
<기신론>의 저자 마명
저자와 역자
<기신론>의 줄거리
<기신론>의 구조
<기신론>을 주석한 여러 소가들
| 서분
1. 삼보에 귀의하며 논을 짓는 뜻을 밝히다 귀경술의 歸敬述意
2. 법이 있다 하고 다섯으로 나누어 설하다 표본개장 標本開章
| 정종분 - 인연분
3. 논을 짓는 8가지 인연을 말하다 인연분 因緣分
4. 이의를 제기하는 질문에 답하다 문답조론의 問答造論意
| 정종분 - 입의분
5. 논의 주제를 내세우다 입의분 立義分
| 정종분 - 해석분
6. 법을 자세히 논술해 나가다 해석분 解釋分
7. 진여가 무엇인가 진여 眞如
8. 진여는 본래 말을 떠났다 이언진여 離言眞如
9. 말을 의지하는 진여도 있다 의언진여 依言眞如
10. 사실 그대로 공한 것 여실공 如實空
11. 사실 그대로 비워지지 않은 것 여실불공 如實不空
12. 마음이 움직여 아뢰야식이 된다 심생멸과 아뢰야식 心生滅과 阿藜耶識
13. 깨달음과 깨닫지 못함 각과 불각 覺과 不覺
14. 본래의 깨달음과 수행하여 얻는 깨달음 본각과 시각 本覺과 始覺
15. 범부의 깨달음 범부각 凡夫覺
16. 비슷한 깨달음 상사각 相似覺
17. 분을 따라 본각에 가까워지는 깨달음 수분각 隨分覺
18. 최후의 완전한 깨달음 구경각 究竟覺
19. 망념이 없는 것과 부처님의 지혜 무념과 불지 無念과 佛智
20. 시각과 본각이 둘이 아니다 시본불이 始本不二
21. 오염된 환경 속의 본각이 나타내는 두 가지 모습
수염본각의 지정상과 부사의업상 隨染本覺의 智淨相과 不思議業相
22. 불가사의한 능력으로 일어나는 활동의 모습 부사의업상 不思議業相
23. 성품이 깨끗한 본래의 깨달음과 네 가지 거울 성정본각과 사경 性淨本覺과 四鏡
24. 사실 그대로 빈 거울 여실공경 如實空鏡
25. 원인에서 훈습되는 거울 인훈습경 因熏習鏡
26
대승大乘이란 무엇인가
인도 승려 마명 스님이 지었다고 알려진 <대승기신론>은 산스크리트어 원전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그 가운데 한역본이 유통되고 있다. 진제 스님의 역본과 실차난타 스님의 역본 중 진제 스?님의 한역본이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대승기신론>은 대승불교의 모든 사상을 간결하고 정확한 문장으로 이야기하는, 대승불교 최고의 논서로 불리고 있다.
그렇다면 <대승기신론>에서 말하는 대승이란 무엇인가?
대승의 ‘승(乘’은 ‘탈 것’을 이르는 말로서 대승이란 ‘많은 이를 태우다’라는 뜻으로, 개인의 해탈에만 힘쓰던 소승불교에서 벗어나 인간 전체의 해탈을 추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저자 마명 스님은 대승불교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받는다. 그런 의미에서 <대승기신론>에서의 대승은 더욱 깊은 뜻으로 설명된다.
대승은 그 의미가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것이라 간단히 정의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대승기신론>에서 가장 주목할 내용은 대승을 중생의 마음이라 선언해 놓은 데 있다. _ 23쪽
<기신론>의 ‘입의분(立義分’에서 “마하연[大乘]은 두 가지 뜻이 있으니 하나는 법이요, 둘은 뜻이다. 법은 바로 중생의 마음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마음이 만법의 근본이라는 불교의 전반적인 대의를 여기서는 ‘마음은 본래 대승이다’라고 바꾸어 말해 놓았다. 결국 일체 중생의 마음이 모두 대승의 마음이라는 것으로, <열반경>에서 ‘일체 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다’는 말처럼 대승을 가장 극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일심一心, 이문二門, 삼대三大, 사신四信, 오행五行을 논하여
대승에의 믿음을 일으키다
<대승기신론>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일심, 이문, 삼대, 사신, 오행이라 할 수 있다. 이 오행 다음에 ‘나무아미타불’ 염불을 권하는 내용을 추가하여 육자(六字를 덧붙이기도 한다. 이 논의 주요 내용인 ‘일심’을 ‘진여문(眞如門’과 ‘생멸문(生滅門’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일심이 가진 특성을 체(體, 상(相, 용(用 삼대의 이론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