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에게 서양철학은 무엇일까? · 7
1일 행복에 대해 묻다 17
1장 ‘수레바퀴 아래에서’의 화두: 나 자신을 알면 행복해질 수 있는가? · 19
- 소크라테스가 답하다
2장 ‘호랑 애벌레’의 화두: 행복한 삶은 어떤 삶일까? · 35
- 아리스토텔레스가 답하다
2일 환상에 대해 묻다 55
1장 ‘매트릭스’의 화두: 우리는 가상 세계에서 살고 있는가? · 57
- 플라톤이 답하다
2장 ‘인셉션’의 화두: 꿈과 현실은 구분될 수 있는가? · 75
- 데카르트가 답하다
3일 운명에 대해 묻다 89
1장 ‘도깨비’의 화두: 운명은 신이 던지는 질문인가? · 91
- 스토아 철학자가 답하다
2장 ‘도리언 그레이’의 화두: 운명의 비극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 · 104
- 에피쿠로스가 답하다
4일 쾌락에 대해 묻다 117
1장 ‘설국열차’의 화두: 최대 행복의 원리는 도덕의 기준이 될 수 있을까? · 119
- 벤담이 답하다
2장 ‘어린 왕자’의 화두: 관계의 양보다 질이 더 중요한가? · 133
- 밀이 답하다
5일 자기보존에 대해 묻다 149
1장 ‘멋진 신세계’의 화두: 우리는 자유로운 존재인가? · 151
- 스피노자가 답하다
2장 ‘파리대왕’의 화두: 자연상태에서 인간은 어떤 모습일까? · 170
- 홉스가 답하다
6일 감정에 대해 묻다 187
1장 ‘인사이드 아웃’의 화두: 감정이 인간을 지배하는가? · 189
- 흄이 답하다
2장 ‘황시목 검사’의 화두: 감정을 느끼지 못해도 도덕적 행동이 가능한가? · 205
- 칸트가 답하다
7일 실존적 삶에 대해 묻다 229
1장 ‘황야의 이리’의 화두: 범속한 삶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 231
- 니체가 답하다
2장 ‘달과 6펜스’의 화두: 실존과 생존은 분리될 수 있는가? · 250
- 사르트르가 답하다
8일 일상 속 철학함에 대해 묻다 267
1장 ‘옥자’의 화두: 동물은 인간을 위한
이 책에서는 행복, 환상, 운명, 쾌락, 자기보존, 감정, 실존 등의 화두를 하나씩 제기하면서 그 화두를 감당해내고자 노력한 서양 철학자들을 대화의 상대자로 불러내는 방법을 제시한다.
저자들이 여기서 제안하는 서양철학 공부법은 서양철학을 문학과 같은 다른 인문학과 연결시키면서 하는 공부로 확장하는 것이다. 우리 전통에서는 문사철이 분리된 것일 수 없었고, 과학기술이 지배하는 현대 한국사회에서는 과학과도 분리될 수 없다. 특히 우리는 문학, 영화, 드라마와 철학 사이의 깊은 연관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문학이나 영화, 드라마는 삶의 어느 지점에 초점을 맞추고 그 삶이 지니는 심연을 글이나 영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지난한 노력들이다.
따라서 시와 분리되어버린 서양철학이 그 과정에서 배제해버린 운문적이고 산문적인 영역을 보완해주기에 이만한 통로도 없다. 거기에 재미까지 더해진다면 서양철학 공부 과정에서 문학과 영화, 드라마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보완재가 된다. 우리 영화와 드라마는 이미 세계사적인 검증 과정을 거쳐 자신감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고, 그 자신감은 바로 우리 상황의 특수성에 기반하여 보편적 정서를 이끌어낼 수 있는 기술과 이야기 능력에서 비롯된다. 서양의 영화와 문학은 물론 우리 영화와 드라마 속에 포함된 철학함의 주제를 함께 살펴보면서 자신의 철학함을 시작할 수 있었으면 하는 희망이 이 책의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