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
서 론 1
Chapter 2.
미사일 방어 분석을 위한 국제정치 이론 분석 9
1. 동맹이론 13
2. 미사일 방어정책 연구 25
Chapter 3.
한국의 미사일 방어 정책 결정 과정 분석 65
제1절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정부의 한국의 초기 미사일 방어정책 67
1. 레이건 정부의 SDI추진과 한국의 초기 미사일 방어정책의 출발 67
(1 레이건 정부의 SDI추진과 전두환 정부의 미사일 방어 67
(2 부시 정부의 GPALS추진·탈냉전 시작과 노태우 정부의 미사일 방어 74
2. 1990년대 초 한국의 미사일 방어정책 82
(1 클린턴 정부의 TMD·NMD추진과 1차 북핵위기 82
(2 김영삼 정부의 미사일 방어 88
3. 한국의 초기 미사일 방어정책과 한미동맹의 안보딜레마 97
(1 SDI·GPALS 추진과 긍정적 검토 97
(2 1차 북핵위기와 패트리어트 배치 104
(3 독립변수의 영향 111
4. 소결 128
제2절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한국의 미사일 방어정책의 확립 135
1. 부시 정부의 MD추진과 김대중 정부의 미사일 방어 참여거부 135
(1 부시 정부의 MD 추진과 김대중 정부의 한러정상회담 ABM조약 외교참사 135
(2 김대중 정부의 미사일 방어 참여 거부 146
2. 2000년대 초반까지의 한국의 미사일 방어정책 154
(1 부시 정부의 MD 유지와 노무현 정부의 미사일 방어 참여 거부 유지 154
(2 노무현 정부의 미사일 방어 157
3. 한국의 미사일 방어 정책의 확립과 한미동맹의 안보딜레마 164
(1 한국의 미사일 방어 참여 거부와 한미동맹 갈등 악화 164
(2 한국의 독일 중고 패트리어트 도입과 한미동맹 갈등 악화 168
(3 독립변수의 영향 175
4. 소결 194
제3절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한국의 미사일 방어정책의 변화 200
1. 오바마 정부의 MD 유지와 이명박 정부의 미사일 방어 참여 거부 유지 200
(1
비대칭위협이 날로 커지고 북한의 미사일 문제가 날로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의 미사일방어체계는 결국 한국의 비대칭위협에 대한 안보수호를 위해서 중요한 체계라고 할수 있다. 한국의 미사일방어체계는 점차 한계를 극복해가고 있지만 사실 한국과 많은 유사한 비대칭위협에 있는 선진국의 3중, 아니 4중 방어체계 구성과 비교해보면 한국의 요격 체계는 아직 갈 길이 멀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보듯 미사일 공격은 도시와 주요시설에 강력한 피해를 줄 수 있는 무기이다. 살상규모가 다양한 수많은 미사일을 우크라이나에 발사하여 많은 민간인사상자와 주요시설등을 파괴했으며 큰 피해를 주었다. 만약 우크라이나의 미사일 방어체계가 체계적으로 가동되었다면 어땠을까 생각하지 않을수 없다.
한국의 현재 미사일방어체계를 살펴보고 미래의 미사일 방어체계의 올바른 구축을위해 이책은 꼭 살펴봐야할 필독서임에 분명하다.
책 속에서
지난 수십 년 동안 한국은 미사일 방어와 관련하여 한국의 국익을 극대화하지 못하였다. 한국의 포기와 연루의 두려움은 여전히 사라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 한국은 연루를 두려워하여 미사일 방어를 거부하였지만 미국이 급박한 순간에 한국을 포기할 수 있는 위험은 더 커지게 되었고 약소동맹국으로서 군사기술력 이전을 받지 못하여 무기의 핵심 부품을 해외에 의존하는 모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연루될 위험은 커지게 되었으며 이러한 두려움이 커지는 것은 악순환을 만들어내고 있다.
국제정치는 냉혹한 현실주의가 작동되며 힘의 논리는 사라지기 어렵다. 한국은 국익을 높이기 위하여 전략적 선택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은 미사일 방어 정책을 구축하여 국가를 위하고 국민을 지키도록 보다 합리적인 정책을 추진해야만 한다. 안보딜레마가 사라지지 않는 국제정치 속에서 한국의 이익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