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한중 수교 30년, 평가와 전망 : 갈등과 협력의 한중 관계, 상생의 길을 묻다 -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연구총서 4
저자 정종호
출판사 21세기북스
출판일 2022-12-12
정가 29,800원
ISBN 9788950942885
수량
서문 - 한중 수교 30년 평가와 전망

제1장 한중 외교 관계 30년 - 김한권(국립외교원
1. 서론
2. 수교 이후 주요 시기별 선행연구와 평가
3. 한중 외교 관계의 회고와 평가
4. 한중 외교 관계 전망
5. 한중 외교 관계 발전 방안
6. 결론

제2장 한중 군사 관계 30년 - 박창희(국방대
1. 서론
2. 한중 군사 관계 회고
3. 한중 군사 관계 평가: 한계와 성과
4. 한중 군사 관계 전망과 발전 방안
5. 결론

제3장 한중 관계와 북한 - 주재우(경희대
1. 서론
2. 한중 관계 부침에서의 북한 요인 회고
3. 변수로서의 북한, 의미와 평가
4. 결론: 한중 관계와 북한의 건설적 발전 방향

제4장 한중 경제 통상 관계 30년 - 정환우(KOTRA
1. 분업 협력에서 경쟁적 통합시장으로
2. 무역·통상 관계의 시기별 변화
3. 한중 경제 통상 관계 전망
4. 새로운 한중 경제 통상 관계를 위한 과제

제5장 한중 상호 직접투자 30년 - 왕윤종(동덕여대 · 최필수(세종대
1. 서론
2. 양국 간 직접투자 추이와 특징
3.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 사례와 평가
4. 중국의 대한국 직접투자 사례와 평가
5. 한중 경제 관계의 시사점 및 전망

제6장 한중 사회문화 교류 30년: 인적 교류와 문화 콘텐츠 교류를 중심으로 - 정종호(서울대 · 윤태희(상명대
1. 서론
2. 한중 인적 교류의 성과와 특징
3. 한중 문화 콘텐츠 교류의 성과와 특징
4. 한중 사회문화 교류의 전망과 과제

제7장. 한중 문화 갈등 30년 - 이욱연(서강대
1. 서론
2. 한중 문화 갈등의 요인 및 양상
3. 한중 문화 갈등 전개 과정의 특징
4. 한중 문화 갈등 극복을 위한 과제
5. 결론

제8장 한중 관계 30년의 분석과 평가 - 조영남(서울대
1. 서론
2. 한중 관계 30년의 시기 구분
3. 한중 관계 30년의 몇 가지 특징
4. 결론: 한중 관계의 평가와 전망

새로운 전환점에 선 한중 관계, 공진공생의 해법 찾기
국내 최고 전문가들의 대중 전략 진단과 제언

1992년 8월 24일, 베이징. 한국과 중국은 양국 관계의 역사적 전환점이 된 수교 협정을 체결했다. 그리고 30년이 흘렀다. 그동안 양국은 수많은 굴곡을 거치면서도 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외교, 사회·문화, 군사·안보 분야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인 협력과 교류를 이루어내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 중국은 2003년 이래 한국의 최대 수출 대상국, 2007년 이래 한국의 최대 수입 대상국이 되었다.

한반도 평화와 번영에 한중 관계가 끼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현재 한중 관계의 미래는 여러 면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사드 사태는 한중 관계 30년사를 가르는 분수령으로 작용했다. 안타깝게도 그 후과는 현재진행형이다. 미중 전략 경쟁의 격화로 한국의 입지는 날로 난처해지고 있다. 북핵은 여전한 난제다. 또한, 양국 간 국력 격차와 비대칭성이 확대되었고 여러 영역에서 규범과 가치관 충돌이 증가해왔다. 그 결과 양국 국민의 상호 인식은 더 나빠지는 흐름이다. 이러한 험난한 여건을 극복하고 양국 간 새로운 협력과 진전된 미래를 만들어낼 방법은 무엇인가? 곳곳에 터져 나오는 갈등을 해결할 묘안은 없는가? 원칙과 유연성을 어떻게 지혜롭게 발휘할 것인가?

복잡하게 얽힌 난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
한중 관계의 4가지 주요 변수

1 미중 전략적 경쟁의 심화
한중 관계를 발전적으로 가꾸어가기 위해서는 여러 위험과 어려움을 관리해야 한다. 첫째는 미중 전략적 경쟁의 심화이다. 1992년 한중 수교는 냉전 체제의 종식이라는 국제질서의 대변화 속에 이루어졌으나, 이제 미중 간 극심한 경쟁이라는 새로운 국제질서가 한중 관계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 선택의 압박에 처한 한국 정부는 기존 ‘전략적 모호성’에서 탈피하여 미중 사이의 주요 현안에 대한 ‘전략적 명확성’을 점차 늘려나갈 것으로 예상되며, 그 과정에서 한국과 중국 간의 갈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