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7
제1장 불교 흥기의 배경 15
1. 자연환경·17
2. 정치적 정황·25
1 문명의 이동·25
2 정치적 과도기·29
3 석가족의 정치적 위상·33
3. 사회·경제적 배경·39
1 계급질서의 변화·39
2 도덕적 타락·43
3 상업의 발달과 도시화·48
제2장 불교사상의 실천적 기조 55
1. 열반의 바른 이해·59
1 열반의 개념·59
2 ‘욕망의 역설’ 비판·66
2. 근본 교설의 실천적 이해·84
1 사성제·84
2 무상과 무아의 실천론·93
3. 불교의 실천적 가르침·104
1 현실적 실천의 강조·104
2 사회적 실천의 강조·107
제3장 불교의 사회사상 113
1. 불교의 사회관·116
1 불교에서 본 세간과 사회·116
2 불교의 사회기원론·119
2. 승가의 사회적 기능·125
1 사회통합·125
2 정신적 계도·132
3. 불교의 이상사회론·135
1 불교의 이상사회와 그 실현 방법·135
2 통치자론·148
4. 인간관계의 윤리·154
1 『육방예경六方禮經』의 분석·154
2 사섭법四攝法·164
제4장 불교의 경제사상 167
1. 재財의 효용론·168
1 윤리적 삶의 기초로서 재의 효용·168
2 사회적 복지 개념으로서 재의 효용·172
2. 생산론·175
1 생산의 윤리·175
2 불교경전의 생산관·178
3. 분배론·185
1 복전福田으로서의 분배 개념·185
2 국가의 분배정책에 관한 경전의 입장·188
4. 직업론·192
1 직업의 의의·192
2 경전의 직업관·197
5. 소비지출론과 사분법·202
1 올바른 소비·202
2 사분법의 내용 검토·212
3 사분법의 바른 해석·220
6. 불교의 노동관·233
1 노동의 개념·237
2 노동에 대한 불교의 기본입장·240
3 불교에서 본 노동의 의미·246
7. 불교교단경제 약사·264
1 인도의 교단경제·264
2 중국의 교단경제·267
3 한국의 교단경제
1.
전통적으로 불교는 개인의 해탈을 추구하고 내세의 안락을 지향하는 종교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불교가 과연 초세간적이고 피안적인 것에만 몰두할 뿐 이 세상의 사회경제적 현실과 일상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일까?
이 책은 먼저 이런 전통적 불교 인식에 대한 원론적인 비판과 해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러기 위해서 불교의 개인 구원적인 단면에만 시선을 고정해서는 안 되며, 시야를 넓혀 항상 전체적인 불교(Buddhism as a whole의 모습을 조망해야 하며, 불교를 하나의 단순한 종교사상으로만 이해할 것이 아니라, 정치, 사회, 경제, 문화 전반을 포괄하는 유기적이고 역동적이며 총체적인 인생의 지혜 또는 삶의 예술(the Art of Living로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2.
응용인문학의 한 분야인 실천응용불교학으로서 이 책은 현대사회의 구조적 모순으로 말미암은 인간성 상실과 환경파괴 등의 현실적 문제에 불교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당위성을 당시 인도 사회에서 행해진 불타의 교설과 역사 속의 불교사상 속에서 찾아내고 있으며, 그 대안들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무상과 무아의 실천론, 불교의 사회관, 승가의 사회경제적 기능, 불교의 노동관과 경제사상, 공업共業사상, 깨달음의 사회화로서 참여불교운동과 민중불교사상 등을 망라하고 있다.
오랜 역사와 전통 때문에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활동에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는 불교가 전혀 이질적으로 변해 버린 사회환경 속에서 신속하게 자신의 새로운 길을 개척하기란 그리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불타의 교설을 한낱 화석화된 언어와 문자가 아니라 역사 현실 속에 살아 숨 쉬는 가르침으로 구현해 가는 노력이야말로 불교에 신선한 생명력을 불어넣는 일이라고 하겠다. 동시에 그것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불교인들에게 부과되는 고귀한 종교적 사명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불타의 근본이념을 오늘의 시점에서 재조명하고 재해석하여 불교의 새로운 역사적 지평을 열어 가는 작업은 오늘을 살아가는 불교인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