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새로운 세계합리성 : 신자유주의 사회에 대한 에세이 - 프리즘총서 40
저자 파에르 다르도 외공저
출판사 (주그린비출판사
출판일 2022-06-27
정가 39,800원
ISBN 9788976826800
수량
감사의 말?5
한국어판 서문 · 신자유주의의 변신?7

서문?합리성으로서의 신자유주의21

I부 통치의 한계들

1장?사회의 역학과 이기심의 합리성 49
정치경제학이라는 학문?51 | 이기심의 주체?54 | 이기심과 도덕 사이의 긴장?56 | 이기심의 체계?65 | ‘사태의 진행과정’에 의해 제한된 통치?71 | 자연법칙의 인식을 통한 통치?79

2장?역사의 진보와 인간 본성의 획일성 85
‘시민사회’의 의미?87 | 시민사회와 역사?90 | 사회관계의 퇴락?98 | 애덤 스미스에게서의 두 욕망?102 | 진보주의 이후에 발생한 사건들?107

3장?개인의 여러 권리에 의해 제한된 통치 118
루소, 로크 그리고 ‘법률-연역적’ 길?120 | 개인적 권리의 토대: 목적론에서 순환론으로?124 | 조물주와 단절된 자연권?127 | 소유권의 토대로서의 자기 소유권?134 | 로크 이후의 소유권?142 | ‘지상(至上권’의 본질?147 | 통치의 제한?154 | ‘위대한 통치술’?158

4장?유용성의 통제 아래 있는 통치 164
공적 행동의 원리로서의 자연권에 대한 비판?170 | 정치행위의 유일한 기준으로서의 유용성의 원칙?178 | 자발성의 구축?186 | 사회개혁주의로 열린 길?190

5장?자유주의의 위기와 신자유주의의 탄생 195
지나치게 편협한 이데올로기?198 | 토크빌과 밀의 때이른 우려?202 | 자유시장 옹호?207 | 국가에 대한 미신에 반대하여?211 | 세기말 경쟁주의의 탄생?214 | ‘새로운 자유주의’와 ‘사회진보’?223 | 칼 폴라니가 말한 국가의 이중활동?232 | 자유주의의 불협화음과 신자유주의?239

Ⅱ부 학문적 재정립

6장?월터 리프먼 학술대회 혹은 자유주의의 쇄신 245
자유주의적 자연주의에 대항하여?248 | 신자유주의의 독창성?256 | 쇄신된 자유주의의 어젠다?266 | 신자유주의와 자본주의 혁명?271 | 법의 지배?278 | 엘리트의 통치?284

7장
신자유주의의 구조와 형성 과정에 대한 계보학적 분석
―경쟁이라는 유일한 질서, 세계는 합리성의 디스토피아가 되었다!

오늘날 우리는 신자유주의 국가가 소극적인 국가, 최소 국가, 약한 국가가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오늘날의 신자유주의 국가는 오히려 사회적 관계에 경쟁의 논리를 강제하고 공적 기관들을 포함한 기관들에 기업 모델을 강제하는 데 대단히 적극적이다. 또한 신자유주의는 스스로 야기한 위기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아 스스로를 강화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자신이 실행한 정책들이 야기한 가장 부정적이고 재앙적인 결과를 자기에게 유리하게 이용하면서 살아남는다. 2015년 유럽연합 당국들이 IMF의 도움을 받아 소위 ‘그리스 국가 부채 위기’를 해결한 권위적 방식은 이런 악순환의 고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상세히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피에르 다르도와 크리스티앙 라발의 『새로운 세계합리성: 신자유주의 사회에 대한 에세이』는 신자유주의의 계보를 파헤치는 책이다. 어떤 대상의 계보를 연구하는 건 그것의 실체성을 뒤흔드는 효과를 갖는다. 그 대상의 기원에 절대성이 아닌 우연성이 있다는 걸 보여 주기 때문이다. 아마도 그 이름 때문에 신자유주의는 자유주의라는 어떤 단일한 사상의 발전된 버전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저자들에 따르면 자유주의는 하나의 단일한 본질을 갖고 있는 실체가 아니며, 그 안에 수많은 갈등과 변화의 과정들이 있어 왔다. 그 갈등과 변화의 과정들 속에서 우연히 한 지점에 맺힌 매듭이 신자유주의이다. 이렇게 이 책의 저자들은 신자유주의의 계보를 추적한다. 그 과정에서 푸코의 『생명관리정치의 탄생』을 주로 참고하면서도, 푸코의 죽음 이후 이미 상당한 시간이 흐른 시점에서, 또 신자유주의의 맹위가 극에 달해 있는 오늘날의 관점에서 다시 한번 그 기획의 의미를 물으며 비판작업을 이어가고자 한다.

“우리는 강요한 적이 없다”
시장이라는 보편법칙, 그리고 대안의 종말

저자들은 신자유주의 합리성의 네 가지 주요 특징을 다음과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