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기 전에
들어가는 글 차별과 혐오에 갇혀 괴로운 당신에게
1부 내 몸이 내 것이 아닌 것 같아
나와 세계를 연결하는 몸
때로는 사회가 몸의 질병을 만든다
내 몸의 주체를 되찾는 자기 돌봄의 철학
Q/A 묻고 답하기
2부 우리는 가족이지만 타인이다
정상가족은 무엇을 말하는가
가족주의가 뿌리박힌 한국 사회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상상하다
Q/A 묻고 답하기
3부 완전한 행복을 위한 젠더 해방
혐오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누가 평등을 말할 수 있을까
젠더를 넘어 성평등으로
Q/A 묻고 답하기
4부 오늘부터 타인 지향적 삶과 이별합니다
타인의 욕망이 삶을 지배하다
똑같은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사회
우리는 언제부터 실패를 두려워하는가
Q/A 묻고 답하기
나가는 글 우리는 조금 더 행복해야 한다
주석
나는 내 인생을 살고 있을까?
남부럽지 않은 삶, 보여주기 위한 삶을 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한 첫걸음!
한국 사회는 100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부족사회가 아닌가 싶을 정도로 구성원의 관심사, 목표, 바람 등이 모두 엇비슷하다. 열다섯 살이면 중학교 2학년이어야 하고, 스무 살이면 대학에 입학해야 하며, 결혼하면 집을 사고 아이를 낳아야 하는 것처럼 생애주기별로 빡빡하게 해야 할 일들이 기다리고 있다.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 생애 단계마다 임무가 주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해진 나이와 정해진 시간에 ‘해야만 하는 것들’을 행하지 않는 삶은 어딘가 문제가 있거나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처럼 인식된다. 이처럼 타인의 시선이 개인의 삶을 지배하는 사회에서 우리는 과연 잘 살아가고 있는 것일까? 지금 내가 하고 있는 모든 것이 진정 나의 욕망에서 비롯된 것일까?
타인의 고통을 연구하는 의료인류학자 이현정 교수는 ‘몸’, ‘가족’, ‘젠더’의 문제를 둘러싼 한국 사회의 경멸과 혐오의 문화를 살펴봄으로써 개개인의 삶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몸’, ‘가족’, ‘젠더’라는 렌즈를 통해 사회와 자신을 들여다보면서, 타인의 평판과 평가를 지나치게 의식하는 사회적 불안을 짚어보고 타인의 기준을 내면화한다는 것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이는 나아가 타인에 의해 이끌리는 삶을 벗어나 자신의 욕망을 발견하고 진정한 ‘나’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돕는다.
차별, 배제, 혐오, 불안에 갇힌 한국 사회
만성적인 사회적 고통에 시달리는 우리에게 인류학이 보내는 치유의 메시지
남에게 잘 보이려는 욕망은 특정 목표를 성취하는 긍정적 동력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욕망이 자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타인의 기대, 사회의 압박에 의해 주입된 것이라면 이는 삶을 불안하고 불행하게 만들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이를테면 ‘착하다’라는 수식어가 몸을 꾸며주게 될 때, 우리 사회는 몸을 ‘착한 몸’과 ‘그렇지 않은 몸’으로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