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생태와 평화교육을 위한 100시간 여행 : 일상에서 바로 시작하는 11가지 생태와 평화 수업
저자 인천광역시교육청 학교민주시민교육 교사아
출판사 에듀니티
출판일 2022-12-15
정가 17,000원
ISBN 9791164251360
수량
[추천사] 고립을 넘어 연대하는 민주시민을 위하여. 도성훈
[프롤로그] 생태와 평화교육의 100시간 여행. 유범상

1부. 관점
우리는 모두 안녕한가요: 평화와 생태의 눈으로 본 지구촌의 생명들. 유범상
공존을 위한 학교 생태교육과 평화교육의 흐름 김용진

2부. 생태
당신에게 축복이었던 플라스틱. 권해란
- 자연의 일부가 된 플라스틱과 그것을 먹는 인간
- 플라스틱 없는 세상은 가능할까?
- 학생들과 함께 활동하기
- 더 이상 당신에게도 축복이 아닌 그것

생태가 정치라고? 배정현
- 생태에 정치를 얹으면?
- 민주시민을 키우는 생태교육, 환경교육과 어떻게 달라야 할까?
-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 생태교육으로 나아가기
- 사회참여 활동으로 풀어가는 생태교육
- 생태교육을 하며 느낀 점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태 시민교육. 안진
- 문제인식으로 꼬.꼬.생 시작하기
- 꼬.꼬.생을 이어가기 위한 4가지
- 세가지 꼬.꼬.생 실천 사례
- 꼬.꼬.생으로 아름다운 세상, 이 시대의 진정한 영웅! 너-나-우리

생태방정식, 일차방정식에서 함께하는 고차방정식으로. 이진영
- 생태학을 처음 만났을 때
- 내가 풀어본 생태방정식은 일차방정식
- 학생들과 함께 생각한 생태방정식의 해법(교과 연계 프로젝트 수업
- 생태방정식, 함께하는 고차방정식으로 풀어요

너와 나, 우리 모두 함께 살아가는 지구. 최현정
- 생태교육, 어렵다. 어려워
- 수업 준비부터 차근차근 시작해요
- 나의 첫 그림책 슬로리딩 생태 수업 4차시
- 나의 첫 그림책 슬로리딩 수업을 돌아보며

용현 갯골수로, 누가 살릴 것인가? 문윤정
- 용현 갯골수로를 둘러싼 갈등
- 용현 갯골수로 회복 프로젝트

생태에도 민주주의가 있다! 이혜원
- 인간 중심 환경교육에서 길을 잃다
- 생태 민주주의에서 길 찾기
- 생태 민주주의로 풀어본 환경교육

3부. 평화
얘들아, 평화가 뭐니? 장혜진
- 교실 속 평화교육
- 배움이 일어나
교실에서 피어난 생태와 평화의 100시간 여행

이 책은 생태와 평화를 주제로 하고 있다. 기후위기, 지구온난화, 폭염과 혹한, 오존층 파괴, 통제되지 않는 바이러스 등은 우리의 삶을 지옥으로 만든다. 특히 생태위기는 약자를 따라다니며 괴롭힌다. 한편 자본주의의 구조적 불평등도 우리의 삶을 평화롭지 못하게 만든다. 이런 점에서 이 글은 평화를 국가 간 폭력적인 충돌 상태인 전쟁으로만 보지 않고, 일상의 구조적 폭력에 주목한다. 생태위기로 인한 구조적폭력이 평화를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특히 생태위기와 불평등은 약자를 주로 괴롭힌다는 관점에서 위험사회의 계급성에 주목한다.

이런 관점을 어떻게 학급에서 나눌 수 있을까?

이 책은 크게 3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에서는 생태와 평화를 바라보는 관점을 다룬다. 생태를 자본주의와 연관시켜 보고, 평화를 생태와 연결해서 이해한다. 즉 생태위기는 시민들의 일상을 전쟁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또한 불평등을 시민들의 평화를 저해하는 구조적 요인으로 간주하고 분석한다. 그런데 학교에서 생태와 평화교육은 그동안 어떤 관점에서 진행되어 왔을까? ‘공존을 위한 학교 생태교육과 평화교육의 흐름’에서 다루고 있다.

이 책에 담긴 2부와 3부는 이런 관점을 100시간 동안 함께 공부한 교사들이 학생들과 나눈 수업과 그 내용을 다룬다. 2부는 생태에 관한 글 7편이 실려 있고, 3부는 평화와 관련된 글 4편을 담고 있다. 생태의 주제는 플라스틱에 관한 성찰, 생태=정치라는 관점에서 아이들과 수업한 글과 민주시민교육의 맥락에서 생태시민교육을 진행한 사례, 생태를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 지구촌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아이들에게 생태교육을 한 사례를 담고 있다. 한편 3부는 전쟁의 맥락에서 보았던 평화교육을 일상의 구조적폭력의 맥락에서 본 평화의 관점 전환교육을 다루고 있다. 또한 학생들과 평화를 묻고 답하는 과정을 노동 현장과 연결지어 구조적폭력의 눈으로 보고, 슬로로딩 수업과 동아리활동을 연결해 일상에서의 평화교육을 이야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