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서론
Ⅰ 한국 도자의 과학성
1. 유약
2. 가마와 소성 기술
3. 성형과 장식
Ⅱ 고려 비색청자와 고려백자
1. 태토와 정제
2. 비색 유약의 완성
3. 고려백자
4. 고려식 가마와 소성
Ⅲ 복합 원료와 고려 디자인
1. 복합 원료의 사용
2. 고려 디자인의 출현
Ⅳ 분청사기
1. 기법과 지역성
2. 가마의 혁신
3. 장식과 유약
Ⅴ 조선백자
1. 신기술의 유입
2. 새로운 원료
3. 가마 기술의 발전
Ⅵ 안료와 색유
1. 청화
2. 철화
3. 동화
4. 화금과 금구
5. 흑유와 철유
Ⅶ 기교: 이중 투각과 사이펀의 원리
1. 이중 투각
2. 사이펀의 원리: 도류호와 계영배
결론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우리 것은 좋은 것’이라던 한국 도자 연구의 관대함을 벗다
통시적 관점과 객관적 자료로 살펴본 한국 도자의 탄생 과정
한국의 전통 도자 원료와 제작 기술은 한반도 안에서, 우리만의 노력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중국을 중심으로 원료와 기술 도입이 꾸준히 있었고, 유입된 기술 향상을 위한 부단한 실험과 변용 노력이 결실을 맺었기에 가능했다. 예컨대 고려시대 비색청자와 상감청자 등은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자기 제작 기술로 탄생하였지만 고려식 원료와 기법으로 완성되었다. 조선백자 역시 고려백자와 다른 새로운 원료와 제작 기법으로 전혀 다른 백자로 재탄생했다. 청화백자 안료의 원료인 코발트는 이슬람에서 중국으로 수입원이 바뀌어 조선에 유입되었다.
반면 소성 기술의 핵심인 가마 축조와 형태, 운영은 중국과 다른 한국식 가마를 계승·발전시켰다. 또한 성형과 문양 역시 고려화된, 조선화된 이미지 창출의 도구가 되어 한국 도자의 신세계를 탄생시켰다. 이 책은 그 신세계 안을 들여다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책은 그간 고려청자, 조선백자, 분청사기 등 개별 시기와 작품에 주목했던 도자 연구의 한계를 깨는 작업이자 통시적 관점에서 최초로 한국 도자의 탄생 과정을 두루 훑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우리 것은 좋은 것”이라는 관대한 시선에서 벗어나 중국·일본·유럽 도자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고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실제 문헌 사료 외에 개인 문집도 샅샅이 훑었다. 사요와 관요로 크게 이분되는 가마의 성격, 전국에 산재한 가마터와 출토 유물, 왕실 및 특수계층을 위한 공납용과 일반 관용(官用과 민수용(民需用 등을 학자적 끈기와 관찰력으로 조사했다.
전남 강진의 고려청자는 어떻게 세계로 퍼져나갔을까?
불과 흙과 공기의 절묘한 조화가 이룬 천하제일의 비색
청자는 고려시대 최고의 과학 기술의 정수를 보여준다. 처음으로 청자를 만든 중국인들도 ‘천하제일’이라고 칭송할 정도였다. 그릇의 표면에 입혀진 유약의 푸른빛에 따라 청자라고 불렀지만, 지역의 흙 성분, 번조 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