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아무나 볼 수 없는 책 : 귀중본이란 무엇인가
저자 장유승
출판사 파이돈
출판일 2022-06-15
정가 17,000원
ISBN 9791196374860
수량
시작하며 - 귀중본이란 무엇인가

1부 조선시대 인쇄술의 명암
1 목판인쇄의 진실_ 팔만대장경과 유교 책판
2 조선의 스테디셀러_ 《포은집》
3 무엇을 위한 금속활자인가_ 《북헌유고》

2부 환영받지 못한 반환 문화재
1 기록을 지배하는 자, 권력을 차지한다_ 《난여》
2 시간의 저울_ 《주형》
3 사랑의 역사_ 《정사유략초》
4 다른 생각, 다른 말, 다른 행동_ 《남화경주해산보》
5 누워서 떠나는 여행_ 《명산기》

3부 인생의 한순간을 기억하며
1 한 번 동기는 영원한 동기_ 《사마방목》
2 황하가 마르고 태산이 닳도록_ 《선무원종공신녹권》
3 60년의 세월을 돌아보며_ 《영조사마도》
4 국왕의 그림자, 승정원 승지들의 애환_ 《은대창수시》
5 금강산의 봄_ 《금강록》
6 인생의 이력서_ 《남계선생연보》
7 황제의 유물에 얽힌 비밀_ 《황사매책시문첩》

4부 명문이란 무엇인가
1 신라인, 세계로 진출하다_ 《협주명현십초시》
2 1478년판 한국문학전집_ 《동문선》
3 퇴계는 과연 위대한 인물인가_ 《퇴계잡영》
4 수석합격자의 모범 답안 모음집_ 《동국장원책》
5 문화 외교의 기록_ 《황화집》

5부 쓸모 있는 책
1 매사냥의 바이블_ 《응골방》
2 굶주림과의 전쟁_ 《중간구황활민보유서》
3 효도를 실천하는 법_ 《수친양로신서》
4 편안하면 위태로움을 생각한다_ 《진법》
5 호기심 많은 조선시대 의관의 연구노트_ 《소문사설》
6 지옥을 피하는 방법_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7 우리 동네 역사책_ 《훈도방주자동지》

마치며 - 귀중한 책의 역사는 계속된다
아무나 볼 수 없는 책이라고? 대체 무슨 책이길래?

귀중한 책의 실물은 아무나 보기 어렵다. 볼 수 있는 건 고작해야 유리 진열장에 갇힌 모습이다. 겉모습만 구경할 뿐, 책은 한 장도 읽을 수 없다. 책을 읽고 싶은 사람은 복사본이나 사진을 보아야 한다. 국립중앙도서관에는 약 28만 권의 고서가 있다. 그중 963종 3,475권이 ‘귀중본’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책이 귀중한 책일까?
국립중앙도서관의 귀중자료 기준의 항목은 12가지이다. 우선 시기에 관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대체로 고서 전문가들은 임진왜란 이전(1592의 책을 귀중본으로 간주하지만 국립중앙도서관의 기준은 조선조 제17대 효종조 이전(1659년의 책을 귀중본으로 본다. 또 다른 기준으로는 1950년 이전 국내 발간자료나 1910년 이전 한국 관련 외국자료, 1945년 이전 독립운동가의 저작물 등 근현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그밖에 하나뿐이거나 몇 없는 책 등 수량이나 소장자에 관한 조건과 자료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고 인정되는 서화 등이 기준이다. 그러나 저자는 귀중본의 실체는 한마디로 ‘드문 책’이며 귀중본을 결정짓는 것은 내용이 아니라 책의 물리적 특징, 즉 물성이라고 말한다.

조선시대 인쇄술과 목판 인쇄의 실체

본격적인 귀중본 이야기에 앞서 저자는 조선시대 인쇄술의 실체를 먼저 짚어 본다.
저자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활자인쇄가 발달한 이유는 인구가 적은 나라에서 다양한 책을 생산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을 뿐, 출판기술의 우월성을 입증하는 증거가 될 수 없다. 이것이 구텐베르크보다 2백 년 앞선다는 한국 금속활자의 실체이다. 또한 팔만대장경은 책을 찍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호를 상징하는 것으로서 목판이 결과물이고 책이 부산물이다. 팔만대장경 목판은 300평의 공간을 차지하지만 인쇄물은 2평이면 충분히 들어간다.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된 유교 책판 역시 ‘인쇄 도구’가 아니라 ‘학문과 권위의 상징’일 뿐이다. 활자본 문집은 목판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