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1. 연구대상 및 연구내용
2. 선행연구
2.1. 한국어 ‘이다’의 연구 분야
2.2. 중국어 ‘是’의 연구 분야
2.3. 한중 대조 연구 분야
2.4. 선행연구의 공헌 및 한계점
3. 언어자료
제1장 ‘이다’와 ‘是’의 구문유형
1.1. ‘이다’의 구문유형
1.1.1. ‘NP+이다’의 구문유형
1.1.2. ‘의존명사+이다’의 구문유형
1.2. ‘是’의 구문유형
1.2.1. ‘NP1+是+NP2’의 구문유형
1.2.2. ‘是……的’의 구문유형
1.3. 소결
제2장 ‘NP+이다’ 구문과 ‘是’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징
2.1. ‘NP+이다’ 구문과 ‘是’ 구문의 통사적 특징
2.1.1. 지시적 동일성
2.1.2. 명사항의 자리바꿈 가능성
2.1.3. 주어를 표제명사로 하는 관계 관형화 가능성
2.1.4. 부정의 가능성
2.1.5. 수식어의 수식 가능성
2.1.6. 서법 제약
2.2. ‘NP+이다’ 구문과 ‘是’ 구문의 의미적 특징
2.2.1. 집합 소속관계
2.2.2. 동일관계
2.2.3. 존재관계
2.2.4. 소유관계
2.2.5. 처소 서술관계
2.2.6. 제시관계
2.2.7. 시간관계
2.2.8. 수량관계
2.2.9. 분열문
2.2.10. 관련성
2.2.11. 진술/해석관계
2.2.12. 은유관계
2.3. ‘NP+이다’ 구문과 ‘是’ 구문의 의지미도
2.3.1. ‘이다’ 구문의 개념공간 및 의미지도
2.3.2. ‘是’ 구문의 개념공간 및 의미지도
2.4. 소결
제3장 ‘의존명사+이다’ 구문과 ‘是……的’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징
3.1. ‘의존명사+이다’ 구문의 통사적 특징
3.1.1. 부정의 가능성
3.1.2. 주어를 표제명사로 하는 관계 관형화
3.1.3. NP2 앞에 나타나는 관형어미의 유형
3.1.4. 판단 동사 구문의 ‘-를, -로’의 소절 구성 가능성
3.2. ‘是……的’ 구문의 통사적 특징
3.2.1. 부정의 가능성
3.2.2. 의문문의 성립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