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구마 겐고, 나의 모든 일
저자 쿠마 켄고
출판사 (주도서출판나무생각
출판일 2023-01-18
정가 32,000원
ISBN 9791162182338
수량
들어가며
경계 건축가 지방과 세계의 연결 삼륜차

제1기 1986-1991
뒤죽박죽의 배후 경계인과 반금욕주의 장식이 아니라 남루한 것에 매료되다 남루한 기하학

직접 고른 55작품|01-03
01. 열 가지 스타일의 집 02. 이즈의 후로고야 03. M2

제2기 1992-2000
건축은 죄악이다 건축의 소거 소거에서 정원으로 디지털 형태가 아닌 체험으로 타우트에게 배운 관계와 물질 뉴욕에서 만난 일본 버블경제 붕괴로 만난 작은 장소 기술자와의 대화로 가능한 일들 옥외에 눈뜨게 해준 도호쿠 저비용이야말로 건축의 테마

직접 고른 55작품|04-13
04. 기로산전망대 05. 오토매틱 가든 06. 물/유리 07. 베네치아 비엔날레95 일본관 전시장 구성 08. 모리부타이 미야기현 도요마마치 전통예능전승관 09. 2005년 일본국제박람회 기본 구상 10. 기타카미강ㆍ운하 교류관 물의 동굴 11. 나카가와마치 바토 히로시게미술관 12. 돌미술관 13. 반오브젝트

제3기 2001-2015
목조건축으로 대규모 장소와 연결되다 중국에서 자각한 노이즈 냉전 건축에서 미중 대립 건축으로 건축가와 고양이의 관계 구멍을 뚫어 생명을 불어넣는다

직접 고른 55작품|14-41
14. 대나무집 15. One오모테산도 16. 지는 건축 17. 무라이 마사나리 기념미술관 18. 오리베의 다실 19. 로터스 하우스 20. Krug×Kuma 21. 쵸쿠라광장 22. 티 하우스 23. 카사 엄브렐러 24. 워터 브랜치 하우스 25. 네즈미술관 26. GC프로소뮤지엄 리서치 센터 27. 글라스/우드 하우스 28. 세라믹 클라우드 29. 유스하라 나무다리 박물관 30. 메무 메도우스 31. 스타벅스 커피 다자이후 덴만구 오모테산도점 32. 아오레나가오카 33. 아사쿠사 문화관광센터 34. 800년 후의 호죠안 35. 마르세유현대미술센터 36. 브장송예술문화
거대한 볼륨, 닫힌 상자를 열고 해체하다
하이데거는 “건축은 탑이 아니라 다리”라고 정의했다. 탑은 고독하게 존재하지만 다리는 두 장소를 연결해 주는 것이다. 구마 겐고 또한 하이데거의 이 말에 큰 영향을 받았고, 1990년대 이후 유행처럼 번지던 ‘볼륨 놀이’를 비판하며 닫힌 볼륨을 열고 해체하는 방법을 모색해왔다. 그래서 그가 설계한 집들은 사람과 자연, 사람과 사람, 사람과 세계, 이편과 저편을 연결하는 다리이자 터널이며, 구멍과 같다. 볼륨을 해체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처마 같은 외부 공간을 주역으로 삼고, 건물 한가운데에 구멍을 뚫어 바람 길을 내고,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터널을 만들고, 중앙광장을 만들어 사방에서 오가며 교류하게 한다. 콘크리트로 완성된 폐쇄적인 상자 안에 틀어박히는 행위는 구마 겐고 자신이 숨이 막혀 견딜 수 없단다.
상품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하는 폐쇄된 상자에 종속된 인류는 얼마나 불행한가. 구마 겐고는 20세기 고도성장기에는 ‘물체’의 생산이 사회를 움직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지만 21세기에 물체의 생산은 환경을 파괴하고 또 다른 착취와 불공정을 낳을 뿐이라며, 닫힌 상자로부터의 해방을 거듭 피력하고 실현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해주는 것이 그가 30년간 무수한 시행착오와 도전을 통해 연마한 ‘방법’들이다. 콘크리트나 철 같은 공업적 소재가 아니라 나무, 세라믹, 유리 등의 약한 재료들도 거침없이 사용한다. 깨지거나 썩는 것에 대한 아쉬움이나 두려움은 없다. 건축도 사람처럼 태어나고, 나이 들고, 죽어서 썩기 마련이니까. 볼륨을 해체하고 작은 입자로 부수길 거듭하다 양자적 단위로서의 해체와 연결로도 이어지는 것이 구마 겐고의 방법이다.

건축가는 장거리 주자처럼 달려야 한다
《구마 겐고, 나의 모든 일》에는 공업화 시대와 탈공업화 시대의 경계를 타넘으면서도 구마 겐고가 지치지 않고 장거리 주자처럼 비슷한 속도로 꾸준히 달려올 수 있었던 비밀이 담겨 있다. 건축가로서의 첫 걸음을 시작한 1986년부터 최근의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