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생활 속의 풍수지리
저자 손용택
출판사 한국학술정보
출판일 2023-01-09
정가 17,000원
ISBN 9791169830317
수량
프롤로그

제1장 동아시아의 풍수관, 그 맥락

01 한국과 중국의 풍수관 차이; 형세론과 이기론을 중심으로
1. 서론
2. 풍수의 본질과 기원
3. 한국과 중국의 풍수 사상 특징
4. 양국의 풍수지리 적용
1 촌락과 도시 및 궁궐 입지에 풍수이론 적용
2 생태 환경보호와 풍수
5. 결론

02 한국과 일본의 풍수관 비교
1. 서론
2. 한국의 풍수
1 자생풍수의 성격과 도선의 역할
2 고려 시대의 풍수
3 조선왕조의 한양 풍수
4 일제강점기 풍수
3. 일본의 풍수
1 도읍지 풍수
2 정원 풍수
3 천황릉의 풍수
4. 결론

제2장 천·지·인 관점과 풍수 본질

03 풍수지리와 천문관, 그리고 농업
1. 서론
2. 풍수지리의 기원 - 음택풍수 기원설과 양택풍수 기원설
3. 풍수지리와 동양 천문학 간의 철학적 유사성
1 풍수지리의 땅의 분류와 동양 천문학의 별자리
2 풍수지리의 24방위와 동양 천문학의 24절기
4. 동양 천문학과 농업의 관계
5. 농업으로부터 발전한 풍수지리
1 풍수지리의 길지와 농업에 유리한 입지
2 풍수지리, 천문학, 농업의 연결고리: 길흉
3 농업으로부터 발전한 풍수지리
6. 결론

04 풍수지리의 ‘생기’ 본질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생기’ 개념 고찰
1 생기 개념의 유래- 생명의 원천과 에너지
2 생태순환론의 보편성과 지속가능성 원리
3 생기의 다양한 실생활 활용
4. ‘생기’ 개념 정립
1 존재론과 인식론 시각의 생기
2 기능과 물질로서의 생기
3 자연과학적 원리와 생기
5. 결론

제3장 풍수의 터고르기와 어촌풍수

일반인들은 ‘풍수’ 또는 ‘풍수지리’ 하면 대체로 ‘매우 심오한 것이지.’ 또는 ‘그것은 미신이야.’와 같은 반응을 보인다. 그만큼 우리에게 친숙한 것도 같고 부정적인 것도 같은, 생활 속에 스며들어 있는 것이 풍수지리이다. 미신적이고 주술적이며 도참적인 이미지와 요소마저 가지고 있는 듯하며, 신앙적이고 사상적이며, 철학적 무게마저 지닌 듯하다.
동양에서는 만물의 변화와 생성을 기(氣의 변화과정을 통해 이해했다.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 역시 기를 지닌 존재로 생각했으므로 인간과 자연을 엄격히 구분하지 않고, 자연을 의인화하여 이해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의인화된 자연을 인간처럼 대우했는데, 바로 예라는 개념을 적용했다. 이러한 견해는 음양 오행설과 결합해 풍수 사상으로 발전했다. 적어도 우리나라에서 1500년 이상 세월을 민중 속에 파고든 풍수지리이다.

정년을 맞이하게 된 (대표 저자는 지리학자로서 60세 넘어서 풍수 강의를 시작했다. 그후 최근까지 강의를 수강한 대학원생들과 더불어 글을 남길 마음 을 먹었다. 예순 살 이전에는 초연한 듯 풍수지리와 거리를 두었던 것은 혹 ‘지 관’이나 ‘풍수’ 또는 ‘감여가’로 여겨지기 싫어서였다. 지리학을 연구하고 가르친다는 것만으로도 심심찮게 집터나 묘지 터를 골라달라는 부탁을 받을 때가 있고, 지리학 교수라는 명함에 괜스레 환영을 받기도 했다. 나이든 후 한국학대 학원 교수로서, 인문지리학과의 커리큘럼 속에 넣어두었던 풍수지리에, 태도를 바꿔 도전해 보기로 했다. 오랜 세월 민중 속에 둥지를 틀어 서민들의 애환과 염원을 담아내고 있는 동양의 뚜렷한 문화요소 가운데 하나인 ‘풍수’를 더 이상 외면하거나 푸대접해 멀리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에서였다. 도전적 자세로 파 고든 지 수년 만에 조금씩 글이 나올 수 있게 되었다. ‘풍수’를 대상으로 학문적 접근의 가능성을 노크해 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풍수지리는 크게 음택과 양택(양기풍수로 분류된다. 기원 측면에서 어떤 것이 먼저인지 학자들 간 의견이 분분하다. 전자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