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하합니다! 특별한 당신을 위해 지금까지의 삶을 바꾸고 몰라보게 근사해질 시간입니다”
무엇이 우리를 자발적이고 열광적인 추종자로 만들까?
희망을 대가로 헌신을 부추기는 ‘광신의 언어(Cultish’를 추적하다
1978년, 남아메리카 가이아나에서 미국 역사상 최악의 자살 사건이 발생했다. 사이비 교주 짐 존스가 이끄는 종교단체 ‘인민사원(Peoples Temple’에서 신도 900여 명이 독극물이 든 음료를 나누어 마시고 함께 목숨을 끊은 것이다. 미디어가 이 사건을 대대적으로 다루면서 사람들은 충격에 빠졌다. 어떻게 이성을 가진 인간이 스스로 목숨을 끊을 정도로 사이비 종교에 ‘세뇌’당할 수 있을까?
2000년, 크로스핏이나 소울사이클 같은 대형 피트니스 센터의 등장은 미국 전역을 피트니스 광풍으로 밀어 넣었다. 외모나 자기계발 같은 세속적 목표에, 삶의 의미나 자존감 같은 종교적 요소를 적절히 결합시킨 이 산업은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이자 시대 정신이 되었다. 열심히 노력만 하면 언젠간 완벽한 몸매는 물론 완벽한 인생을 얻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맹신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탄수화물을 극단적으로 제한하고 신체를 혹사시키며 피트니스 산업에 충성하고 있다.
앞의 두 사례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 집단의 성격이나 그 결과는 크게 다르지만 두 현상 모두 자발적인 추종자들이 만들어 낸 이른바 ‘컬트’라는 사실이다. 그들만의 내부자 용어를 공유하고, 집단에 속한 ‘우리’와 속하지 못한 ‘저들’을 구분하며, 노력만 하면 삶이 완벽해지리라는 과도한 희망의 메시지를 전파하고, 죄책감과 두려움을 유발하는 단어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은 컬트적으로 흡사하다. 이렇듯 컬트는 ‘언어’라는 핵심 수단을 통해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언어가 없으면 컬트도 없다.
사회언어학의 시선으로 언어 속 젠더 부조리를 분석한 첫 책 『워드슬럿: 젠더의 언어학』으로 이름을 알린 작가 어맨다 몬텔은, 유년기를 극단적 컬트 공동체에서 보내다 탈출해 신경과학자가 된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