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그림 감상도 공부가 필요합니다 : 명화, 어떻게 읽고 이해할까
저자 이명옥
출판사 BOOKERS(음악세계
출판일 2023-02-10
정가 19,000원
ISBN 9791190118491
수량
프롤로그 2

절망의 끝에서 마주하다 | 빈센트 반 고흐 <붓꽃-아이리스> 12
패션 아이콘 | 프리다 칼로 <테후아나를 입은 자화상> 22
북유럽 모나리자 |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진주 귀고리 소녀> 34
순수와 우아함에 대한 칭송 | 레오나르도 다빈치 <흰 담비를 안고 있는 여인> 44
오직 한 사람, 나의 뮤즈 | 파블로 피카소 <꿈> 54
이토록 생생한 공포 | 에드바르 뭉크 <절규> 64
세계 미술사의 최고 스캔들 | 프란시스코 고야 <벌거벗은 마하> 74
르네상스 시대 문화 아이콘, 황금비의 여인 | 산드로 보티첼리 <비너스의 탄생> 86
마티스가 꿈꾸었던 곳 | 앙리 마티스 <열린 창문을 등지고 앉아 있는 여인> 98
황금장식기법 최고 걸작 | 구스타프 클림트 <아델레 블로흐 바우어의 초상> 108
눈동자 없는 눈으로 바라본 영원의 세계 |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잔 에뷔테른 초상> 118
빛이 곧 색채다 | 클로드 모네 <정원의 여인들> 128
부르주아의 위선을 고발하다 | 에두아르 마네 <풀밭 위의 점심> 138
영감의 원천 유레카! | 살바도르 달리 <기억의 지속> 148
반문명의 유토피아를 향해 | 폴 고갱 <과일을 들고 있는 여인> 158
회화의 신학 | 디에고 벨라스케스 <시녀들> 170
이슬람 하렘을 그린 최초의 서양화 | 외젠 들라크루아 <알제의 여인들> 182
최초의 결혼 기념 초상화 | 얀 반 에이크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 196
정치 선전화의 걸작 | 자크 루이 다비드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206
페르소나, 가면 뒤의 삶 | 제임스 앙소르 <가면에 둘러싸인 앙소르> 216
미술과 기상학의 융합 | 존 컨스터블 <건초마차> 230
최초로 그림에 표현된 악몽 | 헨리 푸셀리 <악몽> 244
애도의 방법 | 아르놀트 뵈클린 <죽음의 섬> 256
식물학 교재가 된 그림 | 존 에버렛 밀레이 <오필리아> 266
사랑은 신과 같다 | 프랑수아 제라르 <에로스와 프시케> 276
세계 최
‘고유한 스타일’과 ‘새로운 미술 언어’를 창조한 화가들
그들이 남긴 시대를 초월한 위대한 명작의 비밀을 밝히다
최고의 전시 기획자이자 베스트셀러 저자 이명옥 관장은 단순히 보고 느끼고 즐기는 수동적 감상법에서 벗어나 능동적인 감상자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능동적인 감상자가 되는 것은 ‘특별한 방식으로 사물을 보는 작가, 그리고 그렇게 사물을 보는 방식을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작가’가 누구인지부터 찾는 것부터가 시작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고유한 스타일이라고 함은 흔히 ‘피카소 화풍’, ‘반 고흐 화풍’ 등 어느 특정한 화가에게서 떠오르는 그림의 색채, 형태, 구도, 재료 등이다. 화가들은 이러한 ‘조형 언어’를 통해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들을 나타낸다. 여기에 화가가 살아온 시대적 배경, 창작 동기 등 주변의 영향에 따라 표현기법을 고안하여 독창적 화풍이 된다. 더불어 미술사에 위대한 명작으로 남는 것은 ‘최초’를 만들어 내거나 후세에 큰 ‘영향력’을 남겼는지가 때론 중요하다. 15세기 전통적인 초상화를 뒤엎고 최초의 근대 초상화를 그린 레오나르도 다빈치, 근대기상학을 연구하며 그림에 기상학을 접목한 영국의 화가 존 컨스터블, 최초의 결혼 기념 초상화를 그린 얀 반 에이크, 최초로 악몽을 그림으로 표현한 헨리 푸셀리, 현재까지도 전 세계의 많은 창작자들에게 영감을 준 <진주 귀고리 소녀>를 그린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등 화가들이 만들어낸 최초의 시도와 그들의 남다른 관점에 주목해보는 것도 그림 감상의 또 다른 방식이다.

“긍정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만 간접적으로 반박하고 비판하는 내 방식에서 멀어지지 않기 위해, 나는 즉시 교육자를 필요로 하게 하는 세 가지 과제를 설정해본다. 사람들은 보는 법을 배워야 하고, 생각하는 법을 배워야 하고, 말하고 쓰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이 세 가지 과제가 목표로 하는 것은 고귀한 문화다.”
_ 『우상의 황혼』,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그림의 언어를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