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현대 한국미술’을 읽는 한 방법_이영욱
1장 1890-1910년대: ‘미술’이라는 개념과 틀의 형성_목수현, 김경연
1890-1910년대 미술계와 비평문
1. ‘미술’ 용어의 등장
2. 미술교육 제도의 변화
3. 전통 화단과 ‘서화’ 인식의 변화
4. 유학생과 새로운 제도를 통한 미술 인식
5. 사진과 시각적 사실성의 인식
2장 1920년대: 아카데미즘, 모더니즘, 프로미술의 동시 출현과 ‘동양화’의 창안_오윤정, 김경연
1920년대 미술계와 비평문
1.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한 ‘미술’의 제도화
2. 조형을 통한 내면 표현에의 관심
3. 프롤레타리아미술 논쟁
4. ‘동양화’의 창안과 ‘회화’의 모색
3장 1930-1945년: 조선적 모더니즘_권행가, 김경연
1930-1945년 미술계와 비평문
1. 주관의 재발견, 서양에서 동양에로
2. 모더니즘과 전통
3. 동양화의 현대성 추구
4. 현대ㆍ추상ㆍ전위
5. 신체제 미술과 시각문화
4장 1945-1953년: 탈식민 과제로서의 민족·민주주의 미술_최재혁, 김경연
1945-1953년 미술계와 비평문
1. ‘민족미술론’: 일제 식민 잔재 청산과 전통론
2. ‘민족미술’로서 동양화의 재정립
3. ‘민주주의적’ 미술: 미술 대중화론의 모색
4. 해방기의 창작과 비평
5장 1953-1970년: 전후 현대미술의 토대 놓기_신정훈, 김경연
1953-1970년 미술계와 비평문
1. 현대·추상·전위의 재규정, 표현적인 것의 부상
2. 앵포르멜의 확산과 현대미술의 토대 형성
3. 미술의 국제화, 조국의 근대화, 실험의 에토스
4. 한국미술의 반성, 모더니즘과 현실주의 구도의 시작
6장 1970년대: 전통과 결합한 추상, 한국적 모더니즘을 넘어선 도전_권영진, 김경연
1970년대 미술계와 비평문
1. 서구 근대 비판, 전통의 재발견
2. 백색 미학의 성립
3. 동양화? 한국화?
4. 행위와 개념, 극사실회화, 현실주의
7장 1980
개항 이후 100년, 아름답고 논쟁적인 현대 한국미술사를 한 권의 책으로!
주례사 비평은 없다! 성실하고 신랄한 비평의 말로 그린 우리 미술의 궤적
이제 정신의 격투를 담은 전설적인 비평문들을 직접 읽는다
01. 《비평으로 보는 현대 한국미술》은 어떤 책인가?
《비평으로 보는 현대 한국미술》은 제목 그대로 미술 작가나 작품, 사조나 양식, 미술의 시대적 과제 등을 논한 비평문을 모아 그것으로 한국의 근현대미술을 들여다보려는 비평문 모음집이다. 19세기 말 서구의 ‘모던 아트’가 조선에 소개된 이래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100여 년 동안의 미술 비평문 중 138편을 선별해 편집했다. 신문기사나 선언문, 광고 등 일부 성격이 다른 텍스트들이 섞여 있지만, 선별된 글의 대부분은 비평문이다.
한국 근현대 미술사에 대해서는 이미 1970년부터 관련 저술들이 출간되기 시작해서 지금까지 적지 않은 수의 책이 출판되었다. 하지만 현대 한국미술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심도 있게 살펴볼 수 있는 교재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기존의 한국 근현대 미술사 관련 저술들은 방법론적으로 양식사의 틀을 넘어서지 못하거나, 흐름을 구성하는 틀이 단순하고 평면적이어서 자료집 성격이 두드러지거나, 논문 모음집에 가까워 전반적인 개괄이 어렵거나, 혹은 다루는 시기가 한정되는 등 아쉬운 요소가 많았다.
《비평으로 보는 현대 한국미술》은 최근까지 쌓인 연구 성과에 근거하면서, 핵심 논점에 집중하여 비평문을 선별하고, 그러는 가운데 현대 한국미술의 흐름을 좀 더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끔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개항기부터 1990년대까지 100년에 가까운 시기를 한꺼번에 조망하면서 그 연속성과 변화를 잘 드러내려 했다.
02. 비평문을 모았다니 미술사 책으로서는 독특한 접근인 것 같다. 왜 그런 방식을 택했는가?
비평문은 해당 시기 미술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일차적이고 직접적인 근거다. 비평문은 각각의 시대에 비평가(미술계가 무엇을 고민하고 무엇을 질문했는지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