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 “역량 있는 교사들의 역량 교육 실천 이야기”를 읽고
-이혁규, 온정덕, 장경원, 김희수, 황석수, 박재휘, 권향례
서문 : 역량을 키우는 ‘6년의 배움’을 만들기까지
1부_왜 역량을 가르쳐야 하는가
1. 미래 사회와 역량
2. 역량 교육 동향
3. 역량 교육을 바라보는 시선
4. 역량 교육이 어려운 까닭
5. 학교에서 역량을 교육하려면
2부_역량 교육을 어떻게 설계할까
1. ‘6년의 배움’의 준비
2. ‘6년의 배움’ 설계
3. ‘6년의 배움’ 교수학습 방법
4.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교육과정 ‘6년의 배움’
3부_기초소양을 어떻게 키울까?
1. 삶을 바꾸는 힘, 문해력
2. 수학의 진짜 힘, 수리력
3. 사고와 도구의 힘, 디지털 소양
4부_핵심역량을 어떻게 키울까?
1. 스스로를 키우는 힘, 자기 관리 역량
2. 생각하는 힘, 고차적 사고 역량
3. 마음의 힘, 심미적 감성 역량
4. 함께 하는 힘, 공동체 역량
부록
1. 구미봉곡초등학교 역량 배움 지도(기초소양
2. 기초소양별 역량 잣대
3. 구미봉곡초등학교 역량 배움 지도(핵심역량
4. 핵심역량별 역량 잣대
이들이 이렇게 보석처럼 귀한 실천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있다.
첫째, 학생들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것이다. 진보와 보수의 이념도 아니고 교육계의 유행에 민감해서도 아니다. 교사들이 학생들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학교가 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같이 진지하게 고민한 결과가 오히려 가장 미래에 맞는 학교의 모습을 만든 것이다.
둘째, 이런 학생들에 대한 애정을 교사들 각각 개인적 노력에 그치지 않고 학교 내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만들고 공동작업을 했다는 것이다. 특히 ‘6년의 배움’이라는 학교교육과정을 완결성 있게 만들어낸 것은 보석같이 빛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여기에 기초소양으로 문해력, 수리력, 디지털 소양을 정하고, 핵심역량으로 자기 관리 역량, 고차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공동체 역량을 정한 것은 단위 학교에서 교사들이 현장에 기반한 고민을 정확히 정리한 것이다.
셋째, 이런 학교교육과정을 만드는 노력이 2015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등 국내의 교육계 흐름만이 아니라 OECD, UNESCO 등 국제적 교육 흐름에 맞는 역량을 키우는 교육과정으로 방향을 잡았다는 것이다. 결코 쉽지 않은 것임에도 지식 위주의 배움에만 그치지 않고 학생들이 미래의 주인공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역량과 핵심역량을 찾아 정리하고 이를 6년간 어떻게 배울 수 있도록 할지를 지도처럼 만들었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 충분한 실천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일부에서는 문제점도 드러나고 고민되는 지점들도 있다. 하지만 봉곡초등학교 교사들은 외친다. 다른 학교들도 같이 해보자고. 그래서 이런 실천들을 같이 나누자고. 그 실천의 기록을 모으고 쌓아서 진짜 제대로 된 학교혁신을 이루고 모든 학교가 자기들의 교육과정을 만들어보자고. 그래서 미래를 대비하는 역량 교육과정이 우리 학교에 자리 내리고 결국 우리 아이들이 행복한 미래를 만들자고.
이 책은 경상북도 구미의 한 초등학교에서 몇 년에 걸쳐 교사들이 같이 전문적학습공동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