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 관점으로 개발을 바라보다
‘우리는 지리학의 새로운 비전을 지지한다.’
‘새로운 비전’이란 초국적 경향과 세계화의 시대에 국경은 더 쉽게 통과할 수 있는 문이 되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론과 경험적 연구가 모든 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이다. 무엇보다 상호 의존성의 증대가 부유한 세계와 가난한 세계의 불평등을 확대하고 있는 시대에, 지리학과 지리학자들이 멀리 떨어진 다른 나라에 대해 더 큰 책임감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Geographies of Development: An Introduction to Development Studies』의 제4판을 우리나라 현실에 맞게 번역한 책이다. 원서 제4판은 1999년 초판 출간 이후 3판까지 유지해 왔던 대학교재로서의 전통적인 구조를 보완하여, 개발지리학 및 인접 학문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내용의 구성을 충실하게 바꾸었다. 이 책은 원서 제4판을 번역하면서, 원서의 내용에 충실하면서도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다듬어 우리나라 독자들이 개발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개발지리학과 국제개발협력』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 아이디어, 사상을 다룬다.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부터 새천년 개발목표(MDGs,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등과 같은 최근의 개발 이슈까지 탐색한다. 이를 통하여 개발이라는 것이 논쟁적인 주제이고, 개발과 변화의 양상은 더욱 불평등해지고 있으며 갈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2부에서는 인구, 환경, 자원, 제도, 공동체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잡하게 연결된, 개발의 실천을 다룬다. 개발에 따른 변화는 자원과 환경 측면에서 인류를 위한 안전한 공간의 허용치를 이미 벗어났으며, 개발의 실천에 관한 의사 결정 과정에는 개인·공동체·시민사회·국가·초국적 기업·초국적 기구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3부에서는 개발의 공간적 의미를 다룬다. 개발과 관련된 이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