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며 5
머리말 12
1. 언어와 문자 15
1.1 문자란 무엇인가
1.2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1.3 문자와 언어의 혼동
1.4 문자 개념
1.5 언어학에서의 문자
1.6 문자의 종류
2. 문자의 생성 및 발달 원리 93
2.1 상형: 사물의 형상을 본뜨다
2.2 전주: 문자가 가진 의미가 늘어나다
2.3 가차: 문자가 소리를 나타내다
2.4 문자를 결합해서 나타내다
2.5 의미표시자
2.6 소리지시자
2.7 문자가 표상하는 언어 단위
2.8 음절문자
2.9 자음문자
2.10 음소음절문자
2.11 음소문자
2.12 훈민정음의 문자 유형
2.13 문자 차용
3. 문자와 종교, 문자와 상업, 문자와 매체 187
3.1 필기도구와 필기재료
4. 문자와 표기법 195
4.1 표음문자의 환상
4.2 표음성과 표기법
4.3 표기법의 보수성
5. 문자의 도상성과 자질성 221
5.1 문자의 도상성과 의미
5.2 문자의 도상성과 소리
5.3 훈민정음의 도상성
5.4 문자 도상성의 속성
5.5 도시 간판의 도상성
5.6 문자의 자질성
6. 자용론: 문자의 화용론 267
6.1 문자의 시각성
6.2 문자의 공간성
6.3 문자기호를 활용한 의미
7. 문자의 혼종 291
7.1 문자 혼종의 역사
7.2 한자 전용
7.3 한자 혼용: 한주 국종
7.4 한글 전용
7.5 한자의 새로운 기능
7.6 표의문자와 단어문자
7.7 단어문자와 상형문자
8. 문자의 미래: 새로운 문자 연구를 위하여 307
참고문헌 311
연규동 교수 논저 일람 316
왜 문자인가
우리는 일상에서 ‘한국어’를 잘 모르는 외국인에게 ‘한글’을 잘 모른다고 한다든가, ‘한국어’는 잘하지만 ‘한글’을 잘 모르는 한국인에게 ‘한국어’를 잘 못한다고 하는 등 한글과 한국어를 혼동해서 사용하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한글과 한국어는 엄연히 다른 것이다. 한글(훈민정음은 15세기에 세종대왕이 만든 문자체계이며, 한국어는 한국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기 이미 오래전부터 이 땅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해왔다.
이처럼 ‘문자’와 ‘언어’를 혼동해서 쓰는 것은 언어생활에서 문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그만큼 크다는 방증이기도 한다. 특히 요즘처럼 얼굴을 마주 보지 않으면서 문자 교환만으로도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에, 그 형태가 어떠하든 문자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다. 그것은 역사적으로도 마찬가지였다.
문자가 지역에 따라 불균형하게 창조되고 발전해왔음에도 문자를 중요하게 봐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그저 우연히 생기고 사라지고 하는 것이 아니라 낡은 시대를 저물게 하고 새로운 시대를 불러오는 큰 위력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문자 사용은 소통 방식을 바꾸었고, 사회제도를 새롭게 했으며, 새로운 세력을 등장하게 하는 통로가 되기도 했다.
문자의 일반 이론은 무엇을 다루는가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문자의 일반 이론에 관한 연구서는 아주 드물고, 일반적으로 우리에게는 ‘문자’에 대한 관심도, 제대로 된 개념 정립도 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이 책은 우선 1장 ‘언어와 문자’에서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문자의 개념 정립을 엄격하게 시도하고, 2장에서는 본격적으로 ‘문자의 생성 및 발달 원리’를 꼼꼼하고 체계적으로 살펴본다.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음성중심주의와 문자중심주의의 비교를 통해 문자의 개념을 정리해가는 1장은 그간 우리가 파편적으로,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문자와 글자, 글자와 글씨, 상형문자와 그림문자, 표음문자와 표의문자 등의 개념을 더 깊고,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