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
뒤떨어지는 한국 인식
일본 내 한국 연구의 문제점 15
새로운 인식을 향해 19
머리말
한국을 멸시한다니 무슨 말인가?
1부 한국의 행동 원리
제1장 한국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01 일본은 한국을 너무 안이하게 인식한다
‘한반도 인식’이 기만이었던 시대 29
도덕 지향성의 연원이 된 주자학 30
인식과 멸시는 다르다 31
02 일본보다 앞선 한국
왕조 전통의 한국, 봉건 전통의 일본 32
한국의 법조 능력은 높다 34
법에 보수적인 일본, 혁신적인 한국 36
03 근대 쪽인가, 대항 근대 쪽인가?
불평불만 국가 38
한국은 글로벌한 정의의 쪽에 서고자 한다 38
제2장 누가 한국의 주역인가?
01 초조한 ‘노빠꾸’ 국가
‘땅콩 회항’ 사건 41
가속도가 너무 강해 사고가 정지되었다 42
02 진짜 권력을 쥔 존재
왜 자신과 여유를 가질 수 없을까? 43
대통령을 통제할 수 있는 힘 44
03 한국 시민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군인형 엘리트에 대한 대항축으로서 45
사회 전체의 사대부화 47
민주주의란 ‘도덕적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과정’ 49
제3장 동학과 북학-다이너미즘의 동력
01 한국인의 역사관
한국의 지식인이 안고 있는 부채 51
조선왕조에 대한 재평가 52
02 동학이라는 동력
청일전쟁을 낳은 ‘변혁사상’ 53
“자발적 발전의 길은 가능했을까?”라는
질문과의 관계 54
03 북학이라는 동력
소중화사상을 내건 노론의 환상 55
청을 배우자 57
04 동학과 북학의 각축
전근대화하는 포스트모던 58
왜 삼성은 높게 평가받지 못할까? 61
제4장 한국인과 일본인의 정치관
01 국민과 정치의 거리
거버넌스를 가진 일본인, 정치적인 한국인 64
일본인의 동아시아화 66
02 주자학화=주체에 의한 서열화가 진행되는 사회
한국 사회와 비슷해진 일본 68
주자학에 저항했던 미시마 유키오 71
제5장 한일 군사관계를 다시 생각한다
01 양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