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기 원-고려 시기의 출산 및 육아 문화 / 김양진
원-고려 시기(14세기의 문화 교류의 보고 『박통사』
『박통사』의 출산 문화
출산 직후, 산모의 식생
한 달 잔치와 백일 잔치
수유(授乳 문화
『박통사』의 육아 문화
『박통사』 속, 유물로서의 언어 자료
순산을 돕는 의료기기와 출산권 / 김현수
경부와 산통
난산과 무통분만
순산을 돕는 의료기기
출산 트라우마와 출산권
조산사는 어떤 기구와 약제를 사용했나? / 박윤재
나아가, 사용하고자 하였나?
조산사는 왜 소멸되고 있는가?
자연분만을 선호하는 조산사
하지만, 난산은 문제
무엇을 가지고 다녔나?
논란의 대상인 겸자
문제의 초음파
분만촉진제와 자궁수축제
무서운 산후 출혈
어두운 조산사의 미래
출산, 의학이 되다 / 이태준
산모와 아기가 무사한 출산이 우선이다
전통시대의 출산
병원에서 아이를 낳다
과학의 눈으로 산모의 몸을 살피다
여성의 임신과 출산은 혈(血이 좌우한다 / 최지희
‘보혈약’은 어떻게 여성에게 중요한 약이 되었나?
이혈위주(以血爲主의 여성 질병관과 보혈약의 발달
근대 의약시장의 보혈약 판매와 광고
임신과 출산의 성약(聖藥- ‘월월홍’과 ‘여계보’, ‘월광철환’
외국 보혈약의 수입과 여성들의 목소리
보혈약에 투영된 사회의 가치관과 욕망의 변화
유물로 들여다보는 출생과 성장 / 이경효
한국인의 일생
자식바라기[기자(祈子
태몽(胎夢과 태교(胎敎
출산과 산후
젖먹이기[授乳]와 육아
백일(百日
돌[周:주세]과 돌잡이[周:조주]
돌복
변하고, 변하지 않는 가치
오늘날 저출생이 사회적,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하는 시대상, 그리고 비혼을 선택하거나 ‘딩크족(결혼 생활은 하되 자녀를 갖지 않는 부부’의 증가 등과 관련하여 임신-출산의 의미는 인류 역사 시작 이래 가장 근본적인 변화에 직면해 있다. 이런 시점에 임신과 출산의 전통적인 의미와 그 속내를 들여다보는 것은 인문학적으로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임신과 출산은 인류가 존재하는 원천으로서, 보편적이며 반복적인 행위이면서도 문화권마다 고유의 양식이 다양하게 형성되고 발달해 왔다. 그러나 인간이 진화를 거듭할수록 출산은 죽음의 문턱을 넘나드는 위험한 행위로 비화하였다.
한편 인간 진화의 결정적인 계기이자 그 산물인 ‘도구의 사용’은 임신과 출산의 영역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인간은 종족 보존을 위한 임신과 출산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도구와 물질, 그리고 관련 의례들을 창안하고 활용해 왔다. 이는 의례 행위, 의례에 사용되는 기물(器物, 태아와 산모를 위한 각종 의약품, 출산 시 사용되는 의료 도구,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출판물, 이와 관련한 지식과 문화의 전달 등 다양한 층위에 걸쳐서 발달되어 왔다. 그것은 인간의 생존과 생명 그 자체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수준으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어, 인간 존재의 일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도구와 물질을 이해하는 것은 곧 인간 자신을 이해하는 첩경이 되는 것이다.
출산(분만과 관련된 기술과 도구는 산모의 통증을 줄이고 출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 위험성을 최소화하여 순산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부단히 발전을 거듭해 왔다. 이와 관련된 물질과 기구의 사용은 외과적인 도구와 다양한 체위를 통한 것만이 아니라 마취제나 진통제 등의 약물까지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산모와 아이 모두의 안전함, 출산의 경험을 행복한 순간으로 기억하게 하는 것뿐 아니라 출산 트라우마를 최소화하고 임신-출산의 전 과정에서 산모의 선택권을 넓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또한 거의 모든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