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_ 도덕경의 철학적 해석
01 인간의 조건으로서의 자연 _ 조성환
1. 도와 덕: 길과 힘
2. 가도와 상도: 도는 이름이 아니다
3. 천장지구: 자연은 소유하지 않는다
02 성인은 자기가 없다 _ 조성환
1. 허무 철학자 노자
2. 장자의 허심응물
3. 비움의 디자인
03 자연스러운 정치를 꿈꾸다 _ 김현주
1. 무위와 유위, 그들의 관계는?
2. 도로서의 무위란?
3. 노자가 말하는 자연은?
4. 무위정치란 무엇인가?
5. 인간, 땅, 하늘, 도
제2부 _ 노자, 동아시아와 만나다
04 옌푸(嚴復, 노장을 현대화하다 _ 김현주
1. 옌푸, 센세이션을 일으키다
2. 전통의 정반합을 이루다
3. 노장 속에서 민주·과학 사상을 찾다
4. 노장에서 자유주의 사상을 찾다
5. 노장 사상을 현대화하다
05 신이 된 노자, 경전이 된 『도덕경』 _ 한승훈
1. 도교란 무엇인가?
2. 도교의 네 가지 요소
3. 국가도교, 교단도교, 민간도교
4. 도교와 『도덕경』
5. 도교와 노자
6. 도교와 한국
06 노자로 보는 한국사상 : 『도덕경』의 문화신학적 역할 _ 박일준
1. ‘한국적 텍스트’로서 『도덕경』
2. 동북아시아의 텍스트로서 『도덕경』
3. 해석적 다양성의 증가로서 텍스트의 의미 : 『도덕경』 1장을 중심으로
4. 천명의 해체로서 『도덕경』의 도 : 한국문화 속 『도덕경』의 해체적 역할
5. 절대화된 하나님의 해체로서 한국 기독교인들의 『도덕경』 읽기
6. 인류세 시대를 위한 텍스트로서 『도덕경』
참고문헌
찾아보기
동아시아 지혜의 현묘한 원조, 도덕경
노자의 철학은 어떻게 지구와 인류를 구원하는 철학이 되나
동아시아 사상의 플랫폼 도덕경이 전하는 인류 구원의 메시지를 읽다
가깝고도 먼 이웃 동아시아 삼국
세계 여타의 권역과 마찬가지로 동아시아의 주요 국가(한/중/일는 건국 이래 현재까지 문화의 전달과 교류를 하는 한편으로 끊임없이 갈등하며 때로는 전쟁으로 서로에게 파괴적 결과를 낳으며 정립(鼎立하고 있다. 근대 이후에 동아시아의 갈등은 세계적 지평의 갈등과 분쟁의 축소판이거나 혹은 그 분쟁선(紛爭線으로서 자리매김해 왔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세계가 G2 체제로 굳어져 가면서 미중 간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확고한 반중친미의 노선에 선 일본과 달리 미국에 기울어진 운동장 위에서 중국과 이어진 끈 또한 놓칠 수 없는 한국은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거듭하는 어릿광대와 같은 신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세계사적인 지평의 대립 에너지가 아니더라도 동아시아 삼국은 ‘동아시아 문화’를 공유하면서도 그 내적으로는 문화적 이질성이 더욱 큰 바가 있어 서로에 대한 오해와 곡해 사이에서 갈등의 골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슬픈 혹은 비극적인 지구인’으로 살아가기
다른 한편 오늘날 우리 인류의 삶은 ‘지구적인 차원’에서 진행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질이다. 이것은 ‘거대한 세계, 광범위한 차원’의 문제여서 한 개인에게는 무의미한 언술이 아니다.
개인적으로 우리는 일상 생활용품의 가격이나 품질, 그리고 그 정의로운 소비 문제에서부터 코로나19가 지나가더라도, 미세먼지 때문에 마스크를 벗지 못한 채 ‘호모 마스쿠스’(마스크-인간로 살아가야 하는 문제가 모두 ‘전 지구적’ 생산 시스템과 연계되어 있다. 또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 그리고 그로 말미암아 가중되는 불안과 공포, 그리고 환경적 재난과 식량위기 등의 실질적인 위협에 이르기까지 ‘지구적인 차원’은 우리 삶에 밀접히 연관을 맺고 있다.
이런 점에서 오늘날 우리는 비로소 ‘지구인’으로 등극하였다. 이는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