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한의학의 탄생: 근대, 권력, 창조에 대해 묻다
1장. 하이브리드 한의학과 창조적 유물론
근대와 권력의 관계, 그리고 한의학
식민화된 지식의 진격
패러다임론의 정치적 이용과 한계
창조적 유물론
권력지형
행위체: 행위의 사회물질성과 노마드성
탈경계적 과학-기예의 혼합물
한의학을 넘어 한국 근대를 새롭게 이해하기 위하여
2장. 한의학의 근대화와 제도화
‘미개한 조선의 의학’
한의학의 식민화
한의학 부흥 논쟁 또는 동서의학 논쟁
한의학의 법적 승인과 이원의료 체계의 형성
한의학 제도 교육의 정착과 확장
한의학, 국가로 진격하다
양의학의 공격과 주변 의학과의 영역 다툼
전투적 의료 전문집단의 형성
3장. 한약 분쟁과 한의학의 과학적 전환
근대 한의학 역사의 전환점
다중적 경계 사물로서의 한약
전문 영역의 경계 다툼으로서의 한약 분쟁
정부 조직 내 한의학 세트들의 확장
한의약육성법의 제정과 성과
한의학 연구개발 지원 세트들의 형성
한의학 연구조직의 형성
4장. 한의학 실험실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한의학의 과학화는 무엇인가
문화와 권력으로서의 실험실
한의학 실험에 들어오게 된 동기
실험실 문화와 인프라의 생산
상호 교육과 혼종적 연구자 만들기
한약 실험의 과정
SCI 논문과 한의학의 세계화
정치적 체제로서의 한의학 실험실
5장. 봉한학의 재탄생
한의학의 성배를 찾아서
봉한학의 기원
물리학자 소광섭 봉한학의 재탄생을 주도하다
봉한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연구 네트워크와 지원 집단의 형성
봉한학 논쟁
과학의 구조화된 편견 속 봉한 연구의 진화와 확장
6장. 퓨전 진료의 창조: 한의학과 양의학의 만남
한의사와 양의사의 동시 진료
한의학과 양의학은 만날 수 있을까
한의학 진료의 다양성
현지조사 병원의 세팅
변증
■ 사회학자가 한의학 실험실에 뛰어든 이유는 무엇일까?
20대 사회학과 대학원생이 한의학 실험실 관찰을 시작한 이래 40대가 되어 한의학을 주제로 한 권의 책을 펴냈다. 20년이라는 시간 동안 현장의 경험이 연구의 탄탄한 사실성을 보장하는 한편, 과학기술학과 사회과학, 인문학이 융합된 이론적 사유가 경험적 사실을 논리적으로 뒷받침한다. 사회학자가 한의학 실험실에 뛰어든 이유는 무엇일까? 그는 왜 연구실, 협회, 진료실, 기업 등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한의학 관계자들을 만나 인터뷰했을까? 사회학자가 한국의 ‘전통의학’인 한의학을 연구하여 알아내고자 한 것은 무엇일까? 넘치는 열정과 강한 집념을 소유한 이 사회학자는 경희대 사회학과 김종영 교수이고, 연구 결과물은 『하이브리드 한의학: 근대, 권력, 창조』이다.
이 책은 경험연구로부터 추출하고 과학기술학 이론에서 응용한 ‘창조적 유물론’과 ‘권력지형’이라는 개념을 통해 한의학의 근대화, 과학화, 산업화, 세계화를 탐구하고, 나아가 한국 사회의 근대성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기하고자 한다.
■ 한의학의 근대화는 한국 사회의 ‘근대성’과 ‘권력’을 이해하는 데 중요
한의학은 전통의 지식 체계인 동시에 한국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제도화되었으며, 서양 과학의 패러다임과는 다르다는 인식 아래 ‘과학화’의 길을 걸었으며, 과학이 아니라는 편견 속에서도 정식 의료 체계로서 한국 사회제도에 편입되는 등 모순적인 행보를 보였다. 저자 김종영은 한의학이 지니는 이러한 모순적 속성이 ‘근대’(modernity의 모순성과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주지하는바 근대는 질서를 강조하지만 폭력적이고, 자유를 강조하지만 억압적이다. 김종영은 마찬가지로 한의학의 근대화 과정도 모순적이었다고 말하면서도, 한의학이 제도화되고 과학화될 수 있었던 원동력을 이러한 모순 속에서 발견한다. 요컨대, 20세기 한의학은 한국 사회의 ‘근대성’과 ‘권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 음양오행론, 이분법적 패러다임론으로는 한의학의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