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4
1부 불투명한 심연의 존재, 감각 사물
§1. 감각 사물에의 이력 ─ 13
§2. 심연의 불투명성, 또는 불투명한 심연 ─ 20
§3. 절대 이성에 따른 존재와 인식의 명증 ─ 26
§4. 실현 불가능한 이성의 욕망 ─ 33
§5. 칸트가 제시한 불투명한 심연의 존재 ─ 42
§6. 불투명성의 근원, 감각 사물의 영토 ─ 59
§7. 감각 자체와 더불어 지각되는 개별 사물을 무시한 사유들 ─ 71
§8. 감각 사물 ─ 84
2부 불투명성의 현상학
I. 후설: 불투명성의 실마리 ─ 97
§1. 후설의 명증성 원리 ─ 98
1 후설의 명증성 정의 ─ 99
2 충전적 명증성과 필증적 명증성 ─ 104
§2. 후설의 명증에 대한 물음 ─ 107
§3. 후설의 고뇌 ─ 110
§4. 원인상의 원초적인 불투명성 ─ 114
§5. 후설의 두 얼굴: 명증한 본질 필연의 세계와 불투명한 개별 착종의 생활세계 ─ 119
II. 하이데거: 존재의 불투명성 ─ 123
§1. 존재의 불투명성과 이해 ─ 124
§2. 현존재의 존재인 마음 씀과 존재의 불투명성 ─ 129
§3. 불안과 무를 통한 존재의 불투명성 ─ 134
§4. 불투명한 존재의 근원적 불투명성을 견뎌 내는 방책, 시작(詩作 ─ 140
III. 마르셀: 내 몸에서 열리는 신비 존재의 불투명성 ─ 145
§1. 불투명성의 형이상학 ─ 146
§2. 신비의 불투명성 ─ 163
IV. 사르트르: 주체의 투명성과 존재의 불투명성 ─ 167
§1. 존재의 근원적 우연성과 불투명성 ─ 169
§2. 의식의 대자존재성과 절대적 투명성 ─ 175
§3. 존재의 불투명성과 의식의 투명성 사이의 완전한 균열 ─ 179
§4. 즉자의 끈적끈적함, 충동 ─ 183
V. 메를로-퐁티: 몸과 살의 불투명성 ─ 187
§1. 존재 본질적 차이에 의한 몸의 불투명성 ─ 188
§2. 몸의 불투명성을 드러내는 개념들 ─ 191
§3. 살의 불투
“중심에 있는 것은 어둠이다”
심연을 품은 존재인 인간,
그 불투명성과 함께 살아가기 위하여
현실을 채우고 있는 불투명한 존재,
‘감각 사물’
『불투명성의 현상학』은 후설부터 하이데거, 마르셀,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레비나스, 리쾨르, 데리다까지 8명의 유력한 현상학자들의 사유를 ‘존재의 불투명성과 심연’이라는 화두로 엮어 독자적 논의를 전개한다.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저자에 따르면 현상학은 불투명한 존재를 적발하고 그것이 왜 불투명할 수밖에 없는가를 밝히는 철학적 사유이다. 그렇다면 불투명성이란 무엇인가? 불투명성은 이성으로 대표되는 투명함, 명증함과 대조된다. 그것은 존재에 대한 ‘인식’의 근원적인 불가능성과 ‘존재’의 무한 깊이의 심연 두 가지를 오가며 작동한다. 결국 우리의 인식은 존재의 근원적인 불투명성을 다만 명시적으로 확인할 뿐이며, 이때 ‘존재의 불투명성에 대한 명증한 인식’이라는 역설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 불투명한 사태를 확인하는 계기가 곧 사물과 감각의 굳건한 결합, ‘감각 사물’을 통해서다. 감각 사물은 주체와 동떨어져 존재하는 순수 객관적인 사물도, 주체의 감각적 관념의 결과물만도 아닌 존재이다.
삶이란 근본적으로 불투명하다는 것,
그것이 진실 중의 진실이다
서양 철학의 근간이 되는 이성의 논리는, 존재하는 사태는 근본적으로 명증하다고 전제해 왔다. 만약 어떤 사태가 명증하지 않다면 사태의 탓이 아니라 그것을 인식하는 인간의 능력이 부족한 탓이라는 것이다. 그 결과 사태를 명증하게 인식하는 인간의 능력을 역설적이게도 인간의 너머에서 찾는 ‘절대 이성’을 내세우게 되었다. 그러나 과연 존재와 인식이 그토록 명증할 수밖에 없는 것일까? 그러한 명증성을 벗어난 불투명하고 어두운 영역이란 정말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불투명성의 현상학』은 저명한 현상학자들의 사유로부터 불투명한 심연의 존재가 드러나는 대목들을 뽑아 논의를 전개해 나감으로써, 각 사상가들이 사물의 존재 앞에서 자신의 이성적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