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 복단대학의 거자오광葛兆光 교수,
펑유란馮友蘭, 런지위任繼愈를 넘어
‘중국 철학사’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고, 그 빛을 발하다
이 책은 중국의 ‘일반 지식과 사상, 그리고 신앙세계’를 연구하고 서술한 책이다.
이 말에는 약간 색다른 의미가 담겨 있다. 그것은 기존의 중국 철학사가 엘리트 중심의 지식과 사상을 응축한 ‘경전(經典’을 중심으로 한 철학사, 사상사였다면 ‘일반 사람들’의 지식과 사상, 그리고 그들이 믿고 의지하던 신앙세계까지를 포함한 중국의 철학사, 사상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중국 철학사가 엘리트 중심의 ‘지식사(知識史’에 머물고 있었다고 한다면 이 책은 진정한 의미의 철학사, ‘사상사’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이 책이 중국에서 처음 출판되었을 때 반년이 안 돼서 초판 1만 권이 날개 돋친 듯 팔렸다고 한다. 그러면서 이 책을 읽은 전문가들, 국내외 학술지, 신문과 언론들은 “이 책은 ‘어떻게 학술사’를 써야하는지에 대한 토론을 불러 일으켰으며,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사학史學적인 전통과 해석의 중요한 주제에 도전장을 내밀고 ‘중국 사상사의 연구’라는 새로운 장(場을 열었다”는 등의 열띤 논평을 불러일으켰다.
저자는 대다수의 연구자들이 오랜 기간 동안, 아주 오랜 기간 동안 관심을 갖지 않았던 고고학적 유물과 갑골문(甲骨文, 한적(漢籍 속에서 자신의 의지를 시험하려는 듯 이 한 권의 책을 집필하기 위해 천여 권 이상의 원전과 연구서를 독파하며, 그 동안 우리가 기억하지 못하거나 깨닫지 못했던 고인(古人과 철인(哲人 들을 발견하고 대화하면서 자신의 사상과 지혜를 이 책에 담았다.
그 결과 10여 년의 노력이 세인들의 주목을 받으며 빛을 발한 것이다.
이 책의 구성
사상사(思想史는 말 그대로 사상의 역사다. 이 책은 사상사의 서술 방법을 다루고 있는 도론(導論과 고대부터 7세기 이전까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