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 ‘공공’이라는 편견
1 _ 삶을 바꾸는 디자인
퍼블릭 정신의 탄생
차원이 다른 공간 경험
유연한 제도, 유연한 실험
2 _ 제도 침술 ; 낡은 디자인에 질문하기
습관을 바꾸는 디자인
만남이 있는 도시
다수를 위한 다수의 공간
공원을 허하라
3 _ ESG 침술 ; 행동하는 브랜드가 살아남는다
지속 가능성에서 답을 찾다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과정
브랜드, 거버넌스를 만들다
4 _ 시민 침술 ; 누구보다 디테일한 도시 전문가
당사자의 힘
솔루션을 디자인하다
아이들이 바라본 도시
5 _ 배려 침술 ; 모든 디자인의 원점은 배려다
머물 수 있는 거리
아이코닉 쉼터
땅을 디자인하다
6 _ 방지 침술 ; 예방하는 도시는 남다르다
산책을 부르는 골목길
빈민촌에서 커뮤니티로
서브컬처를 투어리즘으로
도로를 마당처럼 쓰는 법
7 _ 재생 침술 ; 적응하고 재사용하라
시민이 만든 풍경
고전에 감각을 더하다
유산의 새활용
시대에 어울리는 존재감
8 _ 정서 침술 ; 도시에 애정이 깃들 때
아이덴티티 디자인
퍼포먼스 건축
기능에 미감을 더하다
에필로그 ; 욕망의 공공성을 향해
주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 좋은 도시의 조건
지난해 10월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 도심 녹지 구상안을 공개했다. 프랑스 파리에서 착안해 도심에 총 2000킬로미터의 녹지 공간을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용산 르네상스와 세운지구 개발에도 재시동을 걸었으며 최근엔 마포구 상암동에 대관람차 ‘서울링’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공공 공간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은 지금만의 얘기가 아니다. 박원순 전 시장은 뉴욕의 하이 라인을 레퍼런스 삼아 서울로 공사를 추진했고 이명박 전 시장은 청계천과 자전거 도로를 만들었다. 인상을 만들고 일상을 바꾸는 디자인들이 많았으나, 때때로 지속하기 어려운 혹은 시민의 삶과 유리된 프로젝트들도 등장했다. 그 과정에서 도시와 시민 간의 거리는 벌어졌고, 공공 공간에 대한 진지한 관심은 쉽게 식었다.
이에 저자는 디자인의 역할에 질문을 던진다. 머물고 싶은 도시는 무엇이 다른가. 공공디자인의 가치는 기존에 제시된 랜드마크들의 상징성과는 사뭇 다르다. 심미적인 것, 탁월한 것 이전에 목적 의식을 찾는다. 사용자 입장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최선의 과정과 결과물을 고민하는 것. 모든 디자인은 본질적으로 솔루션이기 때문이다.
공공디자인의 힘은 다음 일곱 가지 솔루션으로 드러난다. 제도 침술을 통해 기존 디자인을 수정·보완하고 ESG 침술을 통해 기업의 브랜드 액티비즘을 독려한다. 또 시민 침술과 배려 침술로 기능하며 당사자와 함께 당사자의 문제를 해결한다. 방지 침술로 도시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재생 침술로 오래된 공간에 숨을 불어넣으며, 정서 침술로 시민이 도시를 사랑하도록 만든다. 아픈 곳에 뾰족하지만 세밀한 침을 맞고 낫는 것처럼, 도시는 공공디자인의 구체적인 침술들을 통해 더 나은 형태로 빚어진다.
나만을 위한 디자인, 혹은 확고한 취향을 찾아다니는 세대가 ‘공공’이란 단어가 들어간 정책이나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지기란 쉽지 않다.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고 모든 게 스크롤과 클릭으로 성사되는 시대에 오프라인 공간의 잠재력은 멀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