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1. (예비 교사에게 철학은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가?
2. 철학은 뜬구름 잡는 얘기나 해대는 공허한 말장난에 불과한가?
3. 데카르트는 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명제를 내놓았을까?
4. 사회적 갈등과 대립의 해소를 위해 철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5. 철학의 사회적 소임, 강자의 기득권 강화인가, 사회적 약자의 처지에 대한 배려 및 개선인가?
6. 공부를 잘하고 못하는 것, 재능과 노력, 성실성의 차이에 따른 것인가?·
7. 그럼에도 왜 지금 민주 시민 교육인가?
8. 이성은 여전히 신뢰할 수 있는가?
9. 반(反이성주의적 시대 흐름 속에서 이성은 어떻게 옹호될 수 있는가?
10. 분단 상황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미국 시민들의 행태는 왜 주목의 대상이 되는가?
11. 반공주의의 적은 누구인가?
12. 보편적 도덕 원칙이 부재한 현실, 과연 윤리적 위기인가?
13.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문화, 과연 ‘문화 상품’인가?
14. 철학자의 현실 참여, 철학적 신념인가 현세 영합적 기회주의 행태인가?
15. 자생적 실천철학은 어떤 자격 조건을 지녀야 하는가?
참고 문헌
교육 현장에서 철학(함의 의미와 활용
우리가 살아가며 접하게 되는 생활세계 내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현안들을 실천철학적 시각에서 온전히 조망하고 철학 그 자체의 의미나 역할, 기능 등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는 기획 의도를 가진 선우현 교수의 <철학은 현실과 무관한 공리공담의 학문인가>는 특히 교육과 관련하여 철학(함의 본래적 의미와 그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이 책은 예비 교사와 현장의 교사들을 염두에 두고, 철학(함은 핵심적인 실천적, 계몽적, 자기비판적 사유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온전히 인식하도록 일깨우고 동시에 그러한 사고 체계를 한층 더 계발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우리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교육 당국과 교사들의 갈등, 그리고 더 이상 개천에서 용이 날 수 없는 교육 현실과 제도상의 문제점 등을 비판철학적 관점에서 날카롭게 파헤치고 있다.
미국 사회의 주요 사회철학 유형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미국은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나라이다. 미국의 경제와 군사 분야는 물론이고, 할리우드로 대표되는 그들의 문화는 우리의 의식을 사로잡고 있다. 하지만 미국 사회를 움직이는 사상 체계에 대해서는 조금 막연한 부분이 있다. 이 책에서는 미국의 신 주류로 자리 잡은 신보수주의(네오콘에 영향을 준 사상 체계로서 미국의 자유지상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비롯해, 이들과 사상적 논쟁을 벌여 온 롤스의 수정 자유주의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즉, 현대 미국의 대표적 사회철학 유형들의 기능 및 실태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미국 사회를 움직이는 사상적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우리의 자생적 사회철학은 가능한가
이 책에서는 우리의 자생적 실천철학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떤 자격 조건을 지녀야 하는지 모색하고 있다. 그 대상은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에 참여해 정권의 통치 이념을 정립하고, 그 일환으로 국민윤리교육을 통해 반공의식을 고취하고 군부 독재에 순응하는 시민을 양성해 내려 했던 이규호와, 이승만 정권의 통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