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전쟁과 평화, 사랑과 죽음: 우로보로스와 탈 우로보로스
저자 권석우
출판사 (주청송재
출판일 2023-07-27
정가 35,000원
ISBN 9791191883190
수량
꼬리 먹는 뱀 우로보로스 사유와 서양 문명 비판 Ⅲ
전쟁과 평화, 사랑과 죽음: 우로보로스와 탈(脫우로보로스

서문

제4부 | 우로보로스의 상실, 혹은 불가능성과 서양 문명의 몰락: 죽음과 전쟁의 화신 여성

제11장 | 전쟁의 여신 아테나: 서양 문화에서 전쟁의 신은 왜 여신이었는가?
1 지혜의 여신 아테나는 왜 전쟁의 신이기도 했을까?
2 수메르 신화와 이집트 신화에 나타난 전쟁과 지혜의 대모신
3 대모신은 전쟁의 여신이었는가?
4 평화의 대모신과 청동기시대 남성 전쟁 신의 출현
5 전쟁과 평화, 우로보로스의 상실

제12장 | “죽음은 그녀 자신이 되었다”(『대나무 침대』 333: 안티 우로보로스의 재출현과 베트남 전쟁소설에 나타난 죽음으로 표상되는 여성
1 베트남 전쟁소설과 연구 현황
2 베트남 전쟁소설에 나타난 성, 여성, 죽음
3 베트남전쟁과 서양 문명의 죽음 지향적 성향

제13장 | 전쟁의 화신, 여성: 『호랑이 여전사』(Tiger Woman, 2009와 드래곤 레이디(龍女, 蛇女의 재등장
1 여성 전사에 관한 문학작품과 영화
2 하스포드의 『단기사병』과 영화 <풀 메탈 재킷>에 나타난 무명의 여전사
3 『호랑이 여전사』에 나타난 “흡혈귀” 여전사 카이
4 여전사는 흡혈 전쟁귀인가, 드래곤 레이디인가?

제14장 | “평화를 원하거든 평화를 준비하라”: 핵전쟁 시대에 되새기는 전쟁과 평화, 혹은 여성적 평화-평화적 여성에 대한 대위법적 성찰
1 여성과 평화에 대한 단상
2 엘쉬타인(J. Elshtain의 전쟁과 평화에 관한 사유
3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모성적 평화주의의 주장과 한계
4 평화적 여성과 전쟁: 여성은 평화적이며 때로는 전쟁에 참여한다
5 갈퉁(J. Galtung의 평화론과 적극적 평화의 의미
6 유발 하라리의 장밋빛 환상에 관한 사족: “평화를 원하거든 식량을 준비하라”

제5부 | 결론

제15장 | 여성과 죽음, 전쟁과 평화: 탈우로보로스의 가능성에 대한 성찰
1
○ 이 책 전 권은 삶과 죽음의 우로보로스, 원(圓의 현상학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과 사유이다.
저자는 서양 문명에서 여성은 원(圓, 즉 우로보로스 그 자체로 원만함과 포용, 항상(恒常과 유지(維持, 남성은 직선과 이것이 함의하는 대립과 폭력, 발전과 파괴에 자주 비유되어왔다고 분석한다. 또한 여성은 서양의 상상력에서는 풍요와 기근, 창조와 파괴를 동시에 상징하기도 한다고 말하며, 이는 여성이 비단 삶뿐만 아니라 죽음 또한 품고 있는 우로보로스적인 사유에 근거한다고 보고 있다. 저자가 행하는 우로보로스로 돌아보는 서양 문명의 비판이 ‘삶과 죽음의 여성’과 이와 관련된 선악과와 처녀 잉태, 뱀과 달과 물, 메두사와 팜므 파탈, 지식과 지혜, 전쟁과 평화 등에 대한 분석을 근거로 이루어진 이유이기도 하다.

○ 이 책은 여성을 매개로 한 인류의 죽음 관념, 그리고 전쟁과 평화의 상관관계에 관한 자료들을 선별하여, 유대-기독교 문명권에서 시작하여 서양 문명의 시원이라 할 수 있는 수메르-바빌로니아, 이집트, 그리스 문명을 되돌아본 연후 팜므 파탈이 횡행했던 19세기 말의 유럽, 그리고 유럽 문명의 적자로서 죽음 지향적 성향을 잘 드러내 주고 있는 1960년대의 베트남 전쟁 시기의 미국 문명 등과 다른 시대의 다른 문명권에 관한 질문으로 이어져 있다.

○ 저자는 신(神이 남성적이면서도 여성적이고 죽음과 전쟁마저도 남성성과 여성성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 혹은 재확인하고, 인도의 불이(advaita: 不二, 不異와 중국과 한국의 이기이원(理氣二元과 이기일원(理氣一元의 사상도 다시 한번 살펴본다.

○ 저자는 자신의 꼬리를 삼키는 자인 뱀의 형상을 연구하며, 상징과 은유의 변증으로 드러내는 우로보로스적 사유의 서양 문명과 그에 잇닿아 있는 동양 문명을 문화사적으로 비평하고 있다. 이 책은 한 가지 주제를 그 깊이를 알 수 없을 만큼 파헤친 책이다.

○ 이 책의 또 하나의 특징은 장자, 헤겔, 니체, 하이데거, 융, 프로이트 등 동서양 사상가들의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