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
처음에 ― 창조와 광기는 종이 한 장 차이?
제1장 ‘창조와 광기’의 관계를 묻는다
광기가 가져다주는 긍정적인 혜택(1 ― 에메 사례
광기가 가져다는 긍정적인 혜택(2 ― 구사마 야요이
병적학이란 무엇인가
병적학의 역사
조현병 중심주의와 비극주의적 패러다임
일본의 ‘창조와 광기’론
근대의 병으로서 조현병
병적학에 대한 사상사적 검토의 필요성
제2장 플라톤 ― 신적 광기와 창조
고대의 광기
시인 광인설(1 ― 『이온』
시인 광인설(2 ― 『파이드로스』
플라톤의 파르마케이아
플라톤주의의 전복
제3장 아리스토텔레스 ― 멜랑콜리와 창조
신적 광기인가, 멜랑콜리인가
윤리적 이상으로서 멜랑콜리
멜랑콜리=천재설
유대·기독교의 탄생과 다이몬의 변모
추방되는 다이몬
제4장 피치노와 뒤러 ― 나태에서 멜랑콜리로
‘우울’의 두 이미지
수행 생활에서 ‘나태’
중세의 악마 홀림
‘우울’의 가치 전도
<멜랑콜리아 I>
다이몬에 홀린 마음
제5장 데카르트 ― 광기에 홀린 철학
근대적 주체는 광기 속에서 태어났다
데카르트와 피치노
세 가지 꿈
‘코기토’의 근거는 무한히 미뤄진다
데카르트는 광기를 추방했는가?
제6장 칸트 ― 광기를 격리하는 철학
드디어 근대적 주체가 문제 되다
신으로부터 단절된 자식
광기와의 만남과 ‘이성의 불안’
『영혼을 본 자의 꿈』 ― 광기와 (다시 만나는 철학
『순수이성비판』 ― 통각과 제3안티노미에서의 광기
『실용적 견지에서 본 인간학』 ― 다시 광기를 분류한다
칸트의 철학은 광기를 격리할 수 없다
제7장 헤겔 ― 광기를 극복하는 철학
데카르트, 칸트, 헤겔
광기를 극복하는 철학
‘절대지’에 대한 의심
예술 종언론
표상 불가능성에 의한 예술
제8장 횔덜린 ― 마침내 조현병이 나타나다
헤겔과 횔덜린
횔덜린의 병적
발병의 논리
근대적 이성의 균열
시작과 광기
야스퍼스의 횔덜린론
니체의 병적
제9장 하이데거 ― 시의 부정
조현병 중심주의와 비극주의적 패러다임
이 책은 ‘창조와 광기’를 둘러싼 현대의 논의를 ‘조현병 중심주의’와 ‘비극주의적 패러다임’이란 개념으로 논점을 세워 탁월하게 분석해나간다.
구사마 야요이(草間彌生는 오늘날 창조와 광기의 관계를 명료하게 보여주는 대표적인 화가 중 한 사람이다. 구사마의 주치의는 그녀를 ‘정신분열증’, 즉 조현병으로 진단한 바 있으며, 그녀는 조현병 증상이 있을 때에는 예술 표현을 할 수 있지만 약물요법으로 그 증상이 사라지면 작업을 할 수 없다. 독특한 물방울 모양이나 반복적인 얼룩이 아로새겨진 늙은 호박 같은 그녀의 작품은 누구나 한 번쯤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사마의 예술 표현은 집요하게 덮쳐오는 정신병적인 불안한 이미지에서 벗어나려는 행위이다. 그녀는 고통과 불안에 초조해하면서 천재적인 작품을 만들어 그것에서 구원을 찾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구사마의 예술 표현은 조현병 증상에 대한 일종의 ‘복사’로 그녀는 불안한 이미지에 엄습당한 채로 있는 게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적극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자신을 지키는 것이다.
구사마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책은 창조와 이어지는 임상적 광기를 ‘병적학(pathography’이라는 학문을 주축으로 삼아 살핀다. 병적학이란 천재나 예술가 같은 이들에게서 볼 수 있는 정신 질환(광기과 창조성의 관계를 논하는 학문으로 유명인의 다양한 작품에서 병으로 인한 영향의 흔적을 알아내어 그러한 정신의 흐름을 확인하여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어떤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되는 인물이 쓴 일기나 편지를 참조하여 병의 경과를 세밀하게 추적해보면 그 인물이 창조한 작품과 병의 경과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는 청년기에 매독에 감염되어 말년에는 환각 망상 상태를 경험했는데, 이런 정신장애가 그의 사상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가늠해보는 것도 병적학 연구의 주제가 되는 것이다.
지은이는 병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