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속에서
2014년 포고 아일랜드 아트(Fogo Island Arts에서 레지던시를 하던 중 나는 최근의 실험 다큐멘터리에서 바다가 자주 다뤄지는 경향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고, 그런 작품이 바다를 묘사해온 영화의 광범위한 역사 안에서 어떻게 어우러질 수 있을지 궁금해졌다. 포고섬은 이런 사색을 하기에 최적의 장소였다. 인구가 3,000명이 채 되지 않는 이 험준한 섬은 뉴펀들랜드 해안에 자리 잡고 있다. 차갑고 어두운 바다에 둘러싸인 뉴펀들랜드는 캐나다 동쪽 끝에 위치한 또 다른 큰 섬으로, 내가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 나는 해양 환경의 아름다움과 위험이 깊이 새겨진 곳, 바다 곁에서 살고 죽으며 바다의 끊임없는 변화에서 겸손을 배우는 사람들이 사는 곳에서 자랐다. 그러니 아마도 이 책은 … 그때 그곳에서부터 시작됐을지도 모른다.― 6~7쪽 한국어판 서문
1930년에 출간된 『문명 속의 불만』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로맹 롤랑의 개념인 ‘대양의 느낌(oceanic feeling’을 논하며, 이를 나와 외부 세계 사이의 끊을 수 없는 유대감이라고 정의한다. 프로이트가 이해한 대양의 느낌은 자율성이나 지배를 주장하기보다는 무한성, 무경계성, 상호연결성의 감각 때문에 자아의 온전함이 상실되거나 적어도 위태로워지는 유사 신화적 상태였다. ―11쪽
이 책은 다섯 가지 주제―바다의 자연적 우발성, 해저 촬영의 매력, 연안 노동의 재현, 중간 항로(Middle Passage와 불법 이민, 그리고 전 세계 해양 순환의 물질성― … 를 차례로 살펴보면서, 생태적, 인도주의적, 정치적 위기의 시대에 세계 전체에 속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답을 찾아 바다가 영화에서 재현되어온 역사를 특이한 방식으로 표류할 것이다. 대양의 느낌에서 발견되는 자아의 박탈과 탈인간중심주의는 함축, 기억, 돌봄의 실천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12쪽
육지(terra firma를 떠나 대양의 느낌이 주는 유동적인 흐름에 몸을 싣는다는 것은 관점의 급진적인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