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1 목구멍: 아슬아슬한 곡예사
2 심장: 여정의 시작과 끝
3 대변: 감춰진 뒷면의 이야기
4 생식기: 생명을 향한 리듬
5 간: 먹는 것과 공감하는 것
6 솔방울샘: “죽는 거 아니까 푹 자게 해주시면 안 될까요?”
7 뇌: 가장 높은 곳의 수도자
8 피부: 이야기로 쌓아올린 겹겹의 층
9 소변: 첫 번째 도미노가 쓰러지면
10 지방: 영웅과 적 사이
11 폐: 안과 밖의 연결고리
12 눈: 눈빛이 말해주는 것들
13 점액: 생명은 항상 끈적거린다
14 손발가락: 춥고 거친 극지의 삶
15 혈액: 한 방울의 축복
감사의 말
참고문헌
목구멍은 왜 위험하고 어리석게 설계되었을까
인류를 구한 지방은 어쩌다 현대인의 적이 되었나
우리가 몰랐던 열다섯 개의 몸 이야기
우리 몸은 세계의 축소판이다. 각 장기들은 고유한 국가처럼 저마다의 질서 속에서 쉼 없이 움직인다. 이 책은 눈에 보이는 피부나 손발가락, 몸속 깊이 감춰진 뇌와 심장, 일상을 유지해주는 목구멍과 솔방울샘, 우리가 흔적을 감추려 애쓰는 각종 점액과 대소변 등 열다섯 가지 고유한 몸 이야기를 들려준다. 지금은 인체를 탐험하는 의사가 되었지만 한때 전 세계 오지를 누비던 저자가 탐험가의 관점으로 우리가 몰랐던 몸에 대해 알려준다.
예를 들어 ‘목구멍’은 그저 통로가 아니다. 이 책은 인간의 생사를 좌우하는 위험천만한 목구멍 구조에 주목한다. 기도와 식도가 위험할 정도로 붙어 있어서 목구멍은 음식물 하나를 삼키더라도 5개의 뇌신경과 20여 개의 근육이 협력하도록 되어 있지만, 항상 성공하는 것도 아니다. 뇌 깊숙한 곳의 ‘솔방울샘’은 멜라토닌 분비를 통해 아침형 인간을 만들기도 저녁형 인간을 만들기도 한다. 솔방울샘은 빛에 자극되므로 우리는 잠에서 깨려고 햇빛으로 나가지만, 빛은 피부에서 거의 차단되므로 꼭 눈을 통해서 흡수해야 한다. 그 외에도 노인이 고지대를 오르는 데 더 유리한 이유를 알려주는 ‘뇌’의 이야기, 오랫동안 인류를 보호한 동시에 귀한 식량이었던 ‘지방’이 오늘날 공공의 적이 된 배경 등도 담겨 있다.
몸은 삶 속에 있고, 삶은 몸 안에 있다!
병원 응급실부터 히말라야 고산지대까지
탐험가인 의사가 몸 안팎을 연결하다
책 속의 글들은 대부분 환자의 사연으로 시작된다. 이는 몸에 관한 정보로, 세계 각지의 여행 에피소드로 뻗어 나갔다가 다시 환자의 이야기로 돌아온다. 지루할 틈 없이 편집된 한 편의 다큐멘터리 같은 구성은 몸에 대한 시각을 확장한다. 환자의 심근경색을 진단하는 긴박한 장면은 캄차카반도에서 강의 지류를 조망했던 기억과 병원 배관공의 작업 노하우를 향한 호기심으로 이어지며 심장의 역할과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