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법회인유분 / 법회의 인연
2. 선현기청분 / 수보리가 법을 물음
3. 대승정종분 / 대승의 근본 뜻
4. 묘행무주분 / 집착 없는 보시
5. 여리실견분 / 여래의 참모습
6. 정신희유분 / 깊은 믿음
7. 무득무설분 / 깨침과 설법이 없음
8. 의법출생분 / 부처와 깨달음의 어머니, 금강경
9. 일상무상분 / 관념과 그 관념의 부정
10. 장엄정토분 / 불국토의 장엄
11. 무위복승분 / 무위법의 뛰어난 복덕
12. 존중정교분 / 올바른 가르침의 존중
13. 여법수지분 / 이 경을 수지하는 방법
14. 이상적멸분 / 관념을 떠난 열반
15. 지경공덕분 / 경을 수지하는 공덕
16. 능정업장분 / 업장을 맑히는 공덕
17. 구경무아분 / 궁극의 가르침, 무아
18. 일체동관분 / 분별없이 관찰함
19. 법계통화분 / 복덕 아닌 복덕
20. 이색이상분 / 모습과 특성의 초월
21. 비설소설분 / 설법 아닌 설법
22. 무법가득분 / 얻을 것이 없는 법
23. 정심행선분 / 관념을 떠난 선행
24. 복지무비분 / 경전 수지가 최고의 복덕
25. 화무소화분 / 분별 없는 교화
26. 법신비상분 / 신체적 특징을 떠난 여래
27. 무단무멸분 / 단절과 소멸의 초월
28. 불수불탐분 / 탐착 없는 복덕
29. 위의적정분 / 오고 감이 없는 여래
30. 일합이상분 / 부분과 전체의 참모습
31. 지견불생분 / 내지 않아야 할 관념
32. 응화비진분 / 관념을 떠난 교화
대한불교조계종 소의경전 《금강경》
사철제본 방식의 표준 사경본 발간!
《금강경》의 정식 명칭은 《대승금강반야바라밀경》이며, 이를 줄여서 《금강반야경》 또는 《금강경》이라고 한다. 《금강경》은 대승경전의 어머니로 칭송되며,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이기도 하다. 그러나 조계종의 근본이념을 담고 있는 경이면서도 종단 차원에서 간행된 《금강경》이 없어 종도들은 백여 종이 넘는 서로 다른 한글 《금강경》의 유통 속에서 혼란을 겪어야 했다. 이에 대한불교조계종은 종도들이 《금강경》을 쉽게 사경하고, 경전에 담긴 내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금강경 편찬위원회를 구성하여 2년여의 학술연찬을 통해 드디어 《조계종 표준 금강반야바라밀경》을 발간했다.
특히 이번에 출간된 사경본은 기존 사경집의 펼침성을 보완하여 사철제본(실제본으로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사철제본은 종이를 실로 엮는 방식의 제본으로, 일반 도서의 제작방식과 달리 모든 페이지가 180도로 활짝 펼쳐져 사경 수행하는 데 더욱 편리하며 내구성도 뛰어나다.
《조계종 표준 금강반야바라밀경》의 특징
첫째, 편찬실무위원회를 통한 종단 차원의 편찬
이번에 발간된 《조계종 표준 금강반야바라밀경》 은 범어 전문가, 교학전문가, 한학 전문가 등 각계의 전문가 6인을 편찬실무위원으로 위촉해 종단 차원에서 편찬한 것이다. 《금강경》은 조계종의 소의경전인 만큼 개인의 번역이 아니라 종단적 검증을 거친 편찬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교육원 불학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21차의 편찬실무회의를 개최하고, 제방의 고승대덕은 물론 학계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학술세미나 등을 통해 조계종 표준본을 편찬했다.
둘째, 판본 대교 작업을 통한 한문 교감본 편찬
《조계종 표준 금강반야바라밀경》 의 저본으로는 현재 가장 널리 유통되고 있는 구마라집 역본 《금강경》 을 선택하고, 판본으로는 고려대장경 판본을 선정했다. 하지만 판본대조 결과 고려대장경 판본과 여타 대장경 판본 간에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